서지주요정보
Effects of input techniqu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smartphone interaction for elderly users = 노인 사용자의 스마트폰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입력 기법과 개인 특성의 영향
서명 / 저자 Effects of input techniqu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smartphone interaction for elderly users = 노인 사용자의 스마트폰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입력 기법과 개인 특성의 영향 / Jae Hoo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491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E 1901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Even though mobile technologies can provide many benefits such as a higher level of independence and well-being to older adults, many older people have difficulty using smartphones with touch screens due to age-related declines in the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nd lack of experience with the mobile technolog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understand the barriers for their smartphone usage and propose supporting tools or design guidelines to overcome the barriers and help older people interact with the smartphone easi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the elderly using the smartphone,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put techniques (finger vs. stylus pe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smartphone interaction for elderly users. To achieve this objective, one survey and two follow-up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first, a survey on smartphone usage and barriers among the elderly was designed and conducted with 82 Korean older adults. Results showed that 62% of elderly participants were using smartphones, which suggests that smartphones have become a vital part of most elderly people’s daily lives. Elderly users can utilize necessary functions acceptably well and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in the number of elderly smartphone users. Among smartphone functions, calling, texting, and searching were the thre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s. However, elderly smartphone users had difficulties using the keyboards and touch screens of smartphones, and some of them even tried using a smartphone but then changed back to a feature phone due to those difficulties. Based on the findings from our survey and considering the majority of the elderly were familiar with utilizing handwriting tools, the stylus pen was proposed as a potential solution for elderly smartphone users to aid typing and interacting with the touchscreen in general. A follow-up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input techniques (finger vs. stylus pen) and age (young vs. old) on the task performance of smartphone users, in order to provide evidence as to which input technique should be used for elderly smartphone users. In this experiment, two groups of participants (young and old) used the finger and stylus pen to perform the most commonly used functions (calling, texting, and searching). The task performance (completion time, error rate), subjective rating for input techniques, and eye movement data were measured for comparison purpose. Young participants were acted as a control group to check the age-group differenc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with the use of finger, the stylus pen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elderly’s task performance. In addition, even though the old group had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s for most of tasks than the young group, the use of the stylus pen can reduce the performance gaps between the two age groups. The final experimental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what kind of personal characteristics (physical, cognitive abilities, and smartphone experience) could influence the task performance of elderly smartphone user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ask performance. Results showed that the elderly’s cognitive ability, especially perceptual speed was highly related to their task performances. To summarize, this research provided some evidences on the necessity of smartphone for elderly users and the use of stylus pen to fulfill elderly people’ smartphone use. In addition,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young and old people, an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designing more elderly-friendly smartphones in the future.

모바일 기술의 발전이 노인의 삶의 질과 독립성을 향상시키는 등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노인이 노화로 인한 신체적, 인지적 능력의 감소와 모바일 기술에 대한 경험 부족으로 인해 터치스크린이 부착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따라서 노인의 특성을 파악하고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어려움을 이해하여 보조 도구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함으로써 노인이 스마트폰의 장벽을 극복하고 쉽게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주 목적은 노인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노인의 스마트폰 상호작용에 대한 입력 기법 (스타일러스 펜과 손가락)과 개인 특성의 영향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의 설문조사와 두 실험이 수행되었다. 우선 노인의 스마트폰 사용과 어려움에 대한 설문 문항을 만들고, 82 명의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62%의 설문 응답자가 스마트폰을 사용 중이었는데, 이는 대다수의 노인의 일상 생활에 있어 스마트폰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노인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필수 기능을 어느 정도 잘 활용할 수 있고, 노인 스마트폰 사용자 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스마트폰 기능 중에서는 전화, 문자, 검색 기능이 노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상위 3 개의 기능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노인들은 스마트폰의 키보드와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고, 그들 중 몇몇은 심지어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스마트폰을 사용했다가 다시 피처폰으로 돌아가기도 했다. 본 설문조사의 결과 및 대다수의 노인이 필기구 사용에 친숙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스타일러스 펜이 타이핑과 일반적인 터치스크린과의 상호작용에서 노인 스마트폰 사용자를 도울 수 있는 잠재적인 해결책으로 제안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어떤 입력 방식이 노인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밝히기 위해, 입력 방식(스타일러스 펜과 손가락)과 연령(젊은 그룹과 노인 그룹)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자의 과제 수행 능력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두 그룹(젊은 그룹과 노인 그룹)이 스타일러스 펜과 손가락을 이용해 노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전화, 문자, 검색)을 수행하였다. 비교를 위해서 과제 수행 능력 (수행 시간, 실수 횟수), 입력 방식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눈 움직임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젊은 그룹은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서 통제 집단으로 설정되었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손가락에 비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했을 때 노인의 과제 수행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노인 그룹이 젊은 그룹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과제 수행 능력을 보였지만, 펜의 사용이 두 그룹 간의 수행 능력 차이를 줄여주었다. 마지막 실험은 노인 스마트폰 사용자의 어떠한 개인 특성(신체적 능력, 인지적 능력, 스마트폰 경험)이 스마트폰 수행 능력에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고, 이러한 개인 특성과 수행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 결과로, 노인의 인지적 능력, 특히 인지 속도가 과제 수행 능력과 매우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노인의 스마트폰 사용 및 이를 도와줄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에 대한 필요성의 근거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미래에 노인 친화적 스마트폰을 디자인할 때 노인과 젊은이의 차이 및 노인의 개인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E 19016
형태사항 xv, 97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재훈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huping Xio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셔핑숑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및시스템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90-9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