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제1차 벤처붐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 코스닥재건 전략 연구 = A study on historical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first venture boom, and KOSDAQ reconstruction strategy
서명 / 저자 제1차 벤처붐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 코스닥재건 전략 연구 = A study on historical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first venture boom, and KOSDAQ reconstruction strategy / 최선.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489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S 1901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What is the future of Korea? Where should we find a breakthrough in economic growth and job creation? The answer lies in the entrepreneurship of creating new values and changing the world. Korea has already experienced a boom in global entrepreneurial ventures based on its remarkable entrepreneurship. The success factors of the first venture boom were 1) creating a venture ecosystem centered on both the legal system and capital markets that are appropriate to Korea environment, 2) prompt responding to the emergence of the global IT revolution and the rise of the Internet economy, and 3) human resources and funds moved to venture businesses in the wake of ‘the 1997 IMF foreign exchange crisis’. The first venture boom, resembling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was declined with the global IT boom collapsed and the KOSDAQ market plummeted. The evaluation of the first venture boom – bubble or success - will make a big differenc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venture boom diffusion policy. The first venture boom was 1) the result of an effective public-private partnership to build a venture ecosystem infrastructures such as funding, market infrastructure, manpower, technology, and location for each growth stage of venture companies. At the center of the strategy was a virtuous cycle of the venture business ecosystem through both ‘Special Act for Fostering Venture Businesses’ for start-up ventures and ‘KOSDAQ market’ for leading ventures. 2) The first venture boom has played a major role in Korea becoming an IT powerhouse and achieving industrial advancement. Enterprises that lead the Korea IT industry were mostly born and grew up during the first venture boom. Building internet infrastructure expanded their market opportunities, while funding through the KOSDAQ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to growth. 3) Venture companies in the first venture boom were leaders for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at the end of 1997. In fact, as of 2015, more than 50% of venture companies, revenued over 100 billion won, are found to be startups from 1998 to 2001. 4) Venture companies contributed to autonomous and flexible corporate culture, leading to the start-up boom at university and society. The KOSDAQ suffered a decline due to the IT bubble collapse and the NASDAQ plunge. In response, Korea government restricted the venture growth policies, such as 1) conservative shift of venture certification, 2) deterioration of KOSDAQ, 3) conservative shift of stock options, and 4) substantial abolition of the Technology Exchange. This policies distorted the venture ecosystem and deteriorated social perception of the venture. As a result, while NASDAQ went through adjustment period to restore vitality for new star ventures, KOSDAQ continued its decline for about 10 years. The venture ecosystem distorted by the paradigm of 'stability' should be rebuilt with a paradigm of 'growth'. This paper suggests the reconstruction plan of the KOSDAQ market as a first step for restoration of venture ecosystem in the paradigm of growth. Korea has grown up with its remarkable entrepreneurship. National strategies and policies should be set up to revitalize the venture ecosystem and promote innovation in the ventures. If such an innovation-oriented virtuous circle venture ecosystem is revitalized, easy start-up and re-start-up will be active, challenges and innovations, various creativity and failure experiences will be respected, and many ventures will arise. Through this, Korea will be able to regain its future growth engine and become a venture start-up country, lea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미래 한국이 지향하는 국가는 무엇인가.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의 돌파구는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가. 그 답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세상을 바꾸는 기업가정신에 있다. 한국은 이미 놀라운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창업벤처붐을 이뤄낸 경험이 있다. 제1차 벤처붐의 성공요인은 1)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협력하여 한국 풍토에 맞는 법제도와 자본시장을 중심으로 벤처생태계 기반을 조성한 점 2)세계적인 IT혁명과 인터넷경제의 부상에 기민하게 대응한 점 3)1997년 말 외환위기로 인재와 자금이 벤처로 이동한 점 등이다. 불과 5년만에 이룩한 한강의 기적을 닮은 제1차 벤처붐은 이후 세계 IT붐의 붕괴와 코스닥 시장의 급락과 함께 잠잠해졌다. 제1 벤처붐에 대한 인식과 평가 -거품 혹은 성공- 에 따라 제2 벤처붐 확산 정책의 방향성과 전략에 큰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제1차 벤처붐은 1)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로 자금, 시장인프라, 인력, 기술, 입지 등 필수적인 벤처생태계 인프라를 구축하는 효과적인 민관협동 전략의 결과였다. 그 중심에는 창업벤처를 위한 벤처특별법과 선도벤처를 위한 코스닥시장이 쌍끌이 전략을 통한 벤처기업생태계의 선순환이 있었다. 2) 한국이 IT강국으로 도약하고 산업고도화를 이루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한국의 IT산업을 리드하는 수많은 인터넷 서비스 기업들은 대부분 제1차 벤처붐 시기에 탄생하고 성장하였다. 인터넷 인프라 구축과 코스닥을 통한 자금조달 등은 이들의 시장기회를 확대하고 성장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따. 3) 제1 벤처붐의 기업들은 1997년 말 국가적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극복하는데 앞장선 주역들이었다. 2015년 기준으로 벤처천억기업 중 50% 이상이 1998년부터 2001년 동안의 창업기업이라는 연구결과가 이를 증명한다. 4) 벤처기업들은 사회문화적으로 자율적이고 유연한 기업문화에 이바지했으며, 대학가에 창업붐을 일으키고 사회환원에도 앞장섰다. IT버블 붕괴와 나스닥의 급락으로 코스닥은 동반 급락을 겪고,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벤처건전화정책으로 정의할 수 있는 1)벤처인증제 보수화 2)코스닥 통폐합 3)스톡옵션 보수화 4)기술거래소 통폐합을 진행하면서 벤처생태계를 왜곡하고 벤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조정기를 거쳐 새로운 스타벤처가 탄생하고 활력을 찾아가는 나스닥과 달리 코스닥은 약 10년간 침체가 계속되었다. ‘안정’의 패러다임으로 왜곡된 벤처생태계가 ‘성장’의 패러다임으로 재건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 벤처생태계 복원을 위한 첫 단계로서 코스닥시장의 재건 방안을 성장의 패러다임에서 제안하였다. 한국은 놀라운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성장한 나라이다. 기업가정신 DNA를 깨워 제1차 벤처붐을 일으켰던 선순환 벤처생태계의 복원을 바탕으로 혁신이 확산되는 국가전략과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때이다. 이러한 혁신 선순환 벤처생태계가 다시 활성화되어 쉬운 창업과 재도전이 활발해지고, 도전과 혁신, 다양한 창의성과 실패의 경험이 존중받고, 수많은 벤처가 일어나는 중에 한국은 미래 성장동력을 되찾고 IT강국에 이어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벤처창업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S 19012
형태사항 iii, 63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un Cho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민화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in Hwa Lee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60-6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