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청각장애인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이용행태 연구 : 지각된 가치 인식의 차이 중심으로 = (A) study on mobile instant messenger use for the deaf and hard of hearing
서명 / 저자 청각장애인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이용행태 연구 : 지각된 가치 인식의 차이 중심으로 = (A) study on mobile instant messenger use for the deaf and hard of hearing / 박은지.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484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J 1900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combination of the technological progress and increased accessibility has brought technologies closer to humans in terms of the time spent and embedded them in everyday life. The adoption of digital technologies, nevertheless, has not followed a uniform pattern and different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have shown their own distinct ways of adopting communication channels. Despite the fact, study that closely examines how people interact with technology in relation to society and culture is still few and far between. In the light of this dearth of existing studies,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mobile instant messenger use by the deaf and the hard of hearing.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will verify hypothesis whether those with hearing impairment have higher perceived value for Korea’s most used mobile instant messenger Kakao Talk. Based on the theories of uses and gratifications and perceived value, the research found that deaf and the hard of hearing have higher economic, social and emotional values in using Kakao Talk while the figures for functional value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with hearing impairment and non-disabled peers.

기술적 진보와 접근성의 증가는 기술과 인간관계를 더 가깝게 만들고 기술이 일상생활에 깊게 파고들게 만들었다. 하지만 기술과 미디어 이용은 개개인 또는 사회마다 동일한 패턴을 보여주지 않고 독특한 방식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디어 기술 이용을 사람ㆍ사회ㆍ문화ㆍ환경 등의 맥락 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면밀히 조사하는 연구는 여전히 드물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부족에 비추어 본 연구는 청각 손실을 가진 청각장애인들이 비장애인과 비교해 어떤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행태를 나타내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했다. 즉, 청각장애인이 비장애인 이용자 보다 지각된 가치를 높게 인식하는지 Sweeney and Soutar(2001)의 지각된 가치의 4가지 차원을 이용해 조사했다. 그 결과, 청각장애인이 카카오톡을 사용할 때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가치는 더 높게 나타나는 반면 기능적 가치에 대한 수치는 청각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J 19008
형태사항 34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Eun Jee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광형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wang Hyung Lee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25-2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