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R&D collaboration, performance, and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 developing countries : the case of Thailand = 개도국의 R&D 협력, 성과, 그리고 과학기술정책: 태국 케이스
서명 / 저자 R&D collaboration, performance, and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 developing countries : the case of Thailand = 개도국의 R&D 협력, 성과, 그리고 과학기술정책: 태국 케이스 / Wantana Areeprayolkij.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458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P 19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Within the last decade, Thailand has emerged as a South East Asian ‘innovation achiever’, partly due to its aggressive interest in developing its national innovation system (NIS) through a notorious increase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vestment. However, the evaluation of the productivity of such domestic policies has been found unfit to the conditions of this emerging ecosystem. In particular, the assessment of interactions, amongst industry, academic, and government sectors, as an outcome of innovation promotion efforts is reported as a remaining challenge. Previous studies have compared the value of the inputs versus R&D outcomes & innovation activities and argued that certain effects of R&D collaboration hold a different worth depending on the NIS’ context. This study proposes a systematic method to examine which factors of collaboration affect firms on R&D productivity and how these reflect on the industrial sectors’ dynamics. Our focus is on Thailand, as an exemplary case of a developing, upper middle-income country, trying to ‘catch-up’ by enhancing national capacity. The proposed study contributes to the innovation management field as a differentiated approach pursuing a tuned fit to the challenging conditions of firms and policy-makers in emerging nations. The results explore not only direct proxies, such as the number of inventions, patent applications, and granted patents, but also illustrate, through an analytical model, the determinant factors that influence collaboration amongst firms (industry sector), with the academic and public sectors. Our study allows the assessment of innovation outcomes through the proportion of R&D expenditure from government and industry sectors, and the firm’s total sales. The model is tested empirically through a dataset collected directly from the national innovation status survey, performed on firms representing 44 industry sectors in Thailand, from 2011 to 2016. The study features significant conclusions regarding the innovation-led collaboration of firms and stakeholders in the government and industry sectors, for most of the two-year time lag. Our research contributes to practical guidance to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who may design more accurate public policy and innovation promotion strategies that accommodate the challenging conditions typical of developing countries. As an example, based on these results, developing countries which face weak absorptive technological capacity may use the analytical model to tailor short-term national innovation planning, and assess R&D collaboration amongst industry and government sector stakeholders rather than using other traditional innovation promotion output proxies.

지난 10년 동안 태국은 동남아시아의 ‘혁신 성취자’로 부상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연구개발 (R&D) 투자에서 큰 증가를 통한 국가 혁신 시스템 (NIS) 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 덕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 정책의 생산성에 대한 평가는 이 신흥 생태계의 조건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혁신 촉진 노력의 결과로서 산업, 학술 및 정부 부문 간의 상호작용 평가는 남은 과제로써 화두 된다. 이전 연구들은 투자(input)의 가치를 R&D 성과와 혁신 활동의 가치와 비교했으며, 연구개발 협력의 특정 효과는 NIS의 맥락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본 연구는 협력 요소가 R&D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것이 산업 부문의 역학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초점은 발전하고 있는 중상위 국가의 모범 사례로서, 국가의 역량 향상을 통해 ‘추격 (catch-up)’하려는 태국에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신흥국에서 기업과 정책 입안자들의 도전 조건에 맞춰 조정된 적합성을 추구하는 차별화된 접근법으로 혁신 관리 분야에 기여한다. 연구 결과는 발명의 수, 특허 출원, 특허 허가 등과 같은 직접적인 대리 지표(proxy)뿐만 아니라, 분석 모델을 통해, 학술 및 공공 부문과의 기업간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정부 및 산업 부문의 연구개발 지출 비율과 회사의 총 매출을 통해 혁신 결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모델은 2011년부터 2016년까지 태국의 44개 산업부문을 대표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국가혁신 현황조사에서 직접 수집된 데이터셋을 통해 실증적으로 입증된다. 본 논문은 정부 및 산업분야의 기업과 이해당사자들의 혁신 주도 협력에 관한 중요한 결론을 2년이라는 기간에 걸쳐 다룬다. 이 연구는 개발도상국의 전형적인 도전 조건을 수용하는 보다 정확한 공공 정책과 혁신 촉진 전략을 설계할 수 있는 정책 입안자와 실무자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침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결과에 기초해, 흡수력이 약한 기술 역량에 직면한 개발도상국들은 분석 모델을 사용하여 단기 국가 혁신 계획을 조정하고, 다른 전통적인 혁신 촉진 출력 프록시를 사용하는 대신 산업과 정부 부문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연구개발 협력을 평가할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P 19005
형태사항 iii, 99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아리프라율낏 완타나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Duk Hee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덕희
수록잡지명 : "Understanding collaboration & R&D performance challenge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case of Thai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글로벌IT기술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References : p. 78-8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