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ree essays on value creating activ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 entrepreneurship and internal and external R&D strategies = 기업의 가치 창출을 위한 혁신 활동과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가정신과 내/외부 협력 활동을 중심으로
서명 / 저자 Three essays on value creating activ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 entrepreneurship and internal and external R&D strategies = 기업의 가치 창출을 위한 혁신 활동과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가정신과 내/외부 협력 활동을 중심으로 / Ji Eun Jeo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415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M 1600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Schumpeter (1934) first brought the relevance of innovation to the forefront of research and business, and identified innovation as the primary driving factor in economic progress for entrepreneurs. Solow (1957) reemphasized that innovation and technical progress are the primary drivers for economic growth with seminal empirical studies. As Schumpeter (1934) showed, entrepreneurship enables technology innovation, which, in turn, enables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entrepreneurial firms cannot win in competitive markets because of their limited R&D resources and, initially, their less attractive products (Diestre and Rajagopalan, 2012). Several researchers have defined entrepreneurship as a creative process in which individuals engage in forms of generative learning, and this activity permits the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Miller and Friesen, 1982; Popper and Lipshitz, 1998). Argyris and Schon (1978) argued that organizations that wish to invent new strategies capable of sustaining performance must acquire new knowledge. Likewise,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can be considered together and, in order to improve and sustain innovation, firms must adopt open innovation in order to locate and acquire external knowledg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a firm’s innovation activity based on entrepreneurship and open innovation. Moreover,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essays about entrepreneurship and open innovation. First, it presents the effect of open innovation on industrial change patterns, by looking into the evolution of entrepreneurship depending on the open innovation strategies. Second, it suggests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R&D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by estimating the required time for internal R&D strategy to create firm performance. Third, it also presents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technology acquisi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along with the necessary time that the effect of technology acquisition reaches innovative performance. Because of the results of two studies, we can suggest the compared and specific results for internal and external R&D strategies. In the first study, which shows the evolution of entrepreneurship from the perspective of R&D strategies, where the internal technology is exported and external technology is acquired, technological innovation significantly affects evolution. Using the data of technology exportation and acquisition from Medtrack in the bio and pharmaceutical industry, the evolution of entrepreneurship was identified using network analysis from 1980 to 2012. Considering industry characteristics that the innovation process consists of six stages, from discovery to pending approval of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 the major firms with entrepreneurship were presented for each stage. The results show that open innovation strategy affects the evolution of entrepreneurship. In the 1980s, various organizations, such as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and firms, played a role in entrepreneurship, while participating in open innovation. However, in the 2000s, firms that are specialized a specific technology have the entrepreneurship. This implies that firms with a specific technology or capability play an important role as the level of technology matures. Especially, in recent years, biotechnology innovation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dustry change pattern and evolution of entrepreneurship. These two studies estimate the required time for internal and external R&D strategies to create firm performance by using panel vector autoregression, in Chapters 3 and 4. The internal R&D strategy depends on the firm’s size, to make the value for firm with specific the needed time. When firms have high market power and are large size, the effect is created in a short time. The external R&D strategy affects a firm’s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an absorptive capacity as a mediator. When the firm acquires the external technology, the effect is rapidly shown, as the firm is small. This study has several contributions. First, it helps to develop open innovation theory, comparing the internal R&D strategy with the external R&D strategy. The quantitative comparis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D strategies develops open innovation theory. It also suggests an appropriate strategy for firms, showing that the effect depends on the current competitive status and firm siz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pen innovation strategy should be considered. Moreover, entrepreneurship can be achieved depending on the open innovation. Second, it identifies that there are dynamics in entrepreneurship and open innovation, showing that open innovation lead to the evolution of entrepreneurship. This is consistent with Schumpeter’s (1934) assertion that technology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are important for economic development. Las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considers the financial and innovative perspectives. These innovation strategies may contribute not only to firm innovation performance, but also to financial benefits.

Schumpeter (1934)는 처음 혁신을 기업과 연구개발과의 관련성을 제시하고, 혁신은 기업가에 의해서 경제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는 것을 밝혔다. Solow (1957)은 혁신과 기술 발전이 경제발전의 주요한 원동력이 되는 것을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밝혔다. Schumpeter의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기업가정신은 기술혁신을 발생시키고, 이는 경제 발전으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 연구는 기업가정신을 학습에 의한 형태로 개인에 습득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정으로 정의하고, 이는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는 활동을 수반한다. Argyris와 Schon (1978)은 기업의 성과를 유지하기 위해서 새로운 전략을 개발하기를 원하고, 이는 반드시 새로운 지식을 획득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혁신과 기업가정신을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으며, 혁신을 지속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기업은 반드시 외부의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는 개방형 혁신 전략을 취해야 한다. Chesbrough (2003)은 기업이 외부의 혁신 소스를 획득하고, 내부에서 개발된 혁신을 외부로 내보내는 활동을 Open innovation이라고 정의하였다. 최근 지식 근로자들의 유동성이 높아지고, 지식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단순하게 기업 내부의 자원만을 활용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으며, 인터넷의 발달, Venture capital 시장의 형성, 외부 공급업자들과의 폭넓은 협력 속에서 기술혁신을 위한 기업 간 협력과 같은 Open innovation 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기업 간 협력은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고, 오늘날 외부 지식과 기술의 획득과 내부 기술 이전은 기업을 경영하는데 있어 점점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할 만큼 기업의 전략을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자원 및 역량으로 고려되고 있다 (Grant, 1996; Kogut & Zander, 1996).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혁신과 기업가정신 이론에 기반하여 기업 혁신 성과의 효과를 밝힌다. 연구는 총 세 개의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기업의 기술에 대한 개방형 혁신 전략에 따른 기업가정신의 진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개방형 혁신 전략이 산업 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개방형 혁신에 기반한 기업가정신의 진화를 살펴봄으로써 기업의 내/외부 기술개발 활동의 발전 과정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둘째, 기업가정신을 발휘한 기업 내부의 독자적인 연구개발로 인한 기업성과 창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추정하여 독자적인 연구개발과 성과와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밝혔다. 셋째, 외부 기술개발 전략인 외부기술획득으로 인한 기업성과 창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추정함으로써 외부기술획득과 기업성과와의 정량적인 관계를 밝혔다. 두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개방형 혁신의 내/외부 기술개발 전략과 기업 성과 관계를 보였다. 내부 기술을 외부로 내보내고, 외부 기술을 내부로 획득하는 측면에서 살펴본 기업가정신의 진화과정은 기술혁신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Medtrack에서 제공하는 바이오/제약 산업에서의 기술 교류 데이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1980년부터 2012년까지 기업가정신 진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혁신 과정을 총 6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기업가정신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를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 개방형 혁신이 기업가정신의 진화에 대해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기관(연구소, 대학, 기업 등)이 개방형 혁신에 참여하여 주도적으로 기업가정신을 실현하던 1980년대와 달리 2000년대에는 특정 기술에 특화된 기관(기업)이 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개발 수준이 성숙기단계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역할을 넓게 수행하는 기업보다는 특정 분야에 대한 역량이나 기술력이 있는 기업의 역할이 중요해졌음을 보이는 결과이다. 특히, 최근에는 바이오 기술의 혁신이 산업의 구조 변화와 기업가정신 진화에 크게 기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부 기술개발 전략과 외부 기술개발전략을 취했을 때, 성과에 영향을 미칠 때까지 소용되는 시간 추정을 위해 두 연구(chapter 3, 4)에서 Panel Vector Autoregression의 Impulse Response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내부 기술개발 전략이 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가치를 창출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살펴본 연구 결과, 내부 기술개발전략은 기업의 외부적인 시장 상황과 규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기업의 현재 시장 경쟁력이 좋을수록, 규모가 클수록 더 빠르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기술획득 전략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기업의 흡수역량이 외부기술획득과 혁신성과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흡수역량을 매개체로 하여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빠르게 성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의 기여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개방형 혁신 전략을 내부와 외부 기술개발 전략을 비교함으로써 개방형 혁신 전략의 이론 발전에 기여하였다. 내부 기술개발 전략과 외부기술획득 전략을 취했을 때 성과를 창출하는 시간을 추정하여 비교함으로써 개방형 혁신 전략의 정량적 비교를 하였다. 기업의 외부적인 시장 상황과 기업의 규모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것을 보임으로써 이론의 구체화에 기여하였다. 기존의 여러 연구들이 기업가정신과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만 살펴본 것을 넘어서서 기업가정신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내부와 외부의 기술을 내보내고, 들여오는 전략이 중요시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개방형 혁신 전략이 기업가정신의 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개방형 혁신과 기업가정신 이론의 관계에 시간적인 변화(Dynamics)가 있음을 밝혔다. 특히, 산업의 기술혁신이 기업가정신 진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임으로써 슘페터의 경제성장을 위한 기술혁신과 기업과정신의 중요성과 일맥상통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본 연구는 기업의 혁신 성과와 개방형 혁신 전략을 살펴봄에 있어서 재무적인 특성과 기술적인 특성 모두를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기업의 혁신 전략은 기업의 혁신 성과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재무적인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업의 기술개발전략에 따라 재무적인 측면과 혁신적인 측면에서 모두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M 16006
형태사항 vii, 95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전지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Tae Yong Y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양태용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y Young Ohm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엄재용
수록잡지명 : "Causal Relationships among Technology Acquisition,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Evidence from the Pharmaceutical Industry". PLOS ONE, v.10.no.7, e0131642(2015)
Appendix : 1, Description of sub-industry in bio and pharmaceutical industry. - 2, The expiration date of patent of drugs. - 3, Unit root test in large pharmaceutical firms for chapter 4. - 4, Unit root test in small and medium pharmaceutical firms for chapter 4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82-9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