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한국 주식시장의 건전성 효과에 대한 실증 연구 = (An) empirical study of quality effect in the Korean stock market
서명 / 저자 한국 주식시장의 건전성 효과에 대한 실증 연구 = (An) empirical study of quality effect in the Korean stock market / 박윤송.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404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E 1902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1156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FE 19020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istence of Size effect in the Korean stock market and the quality effect which uses Quality and Quality-minus-junk factor. QMJ factor that goes long high-quality stocks and shorts low-quality stocks earns significant risk-adjusted returns. In terms of the Quality, profitability, growth, and safety will be analyzed to show that the effect of high realized return of quality stock named after quality effect emerges in the Korean stock market. After analyzing correlation among the quality, profitability, growth and safety factor, this study use profitability factor to make new QMJ portfolio and document that strong abnormal returns to quality.

본 연구는 Asness, Frazzini, Israel, Moskowitz, Pedersen(2018)에 따라 국내 주식시장에 규모 효과의 존재를 재 검토하고, Asness, Frazzini, and Pedersen(2017)의 QMJ 요인을 통하여 한국 주식시장의 건전성 요인의 적합성을 검증한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비 금융업종 보통주의 월별 주식 수익률을 표본으로 하고 분석 기간은 2000년 7월부터 2018년 6월까지이다. 한국 주식시장에서 건전성 요인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건전성 척도의 수익률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건전성 요인과 수익성, 성장성, 안정성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지닌 수익성 요인을 기초로 새로운 건전성 요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으며 건전성 요인 수익률이 규모, 가치, 모멘텀 변수로 설명 가능한지 확인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E 19020
형태사항 iii, 31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Yoon Song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동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Tong Suk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30-3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