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한국 주식시장에서 수익률 예측 요인을 이용한 횡단면 및 시계열 수익률 차이점 실증연구 = Cross-sectional and time-series tests of return predictability in Korean stock market
서명 / 저자 한국 주식시장에서 수익률 예측 요인을 이용한 횡단면 및 시계열 수익률 차이점 실증연구 = Cross-sectional and time-series tests of return predictability in Korean stock market / 박성진.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404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E 1901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1149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FE 19017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thesis estimates the difference in profitability of time series and cross sectional momentum strategies using predictors introduced by Goyal and Jegadeesh in 2018.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ime series and cross sectional profits are classified (1) risk premium, (2) market timing, and (3) stock selection. Risk premium and market timing components are determined by the net long position of the time series strategy. Stock selection component is determined by reference point difference between time series and cross sectional strategy. When using past return as predictors, individual stocks are affected by risk premium and market timing from the equal weighted market index and net long position. In the long term, stock selection has been a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

본 연구는 2018년 Goyal과 Jegadeesh가 소개한 수익률 예측 요인을 이용하여 시계열 및 횡단면 모멘텀 전략의 수익성 차이를 분석한다. 시계열과 횡단면의 수익률 예측 요인은 (1) 위험 프리미엄, (2) 시장 타이밍, (3) 종목 선택으로 분류한다. 위험 프리미엄과 시장 타이밍은 시계열 전략의 총 매수 포지션에 따라 결정되어지고, 종목 선택은 시계열과 횡단면 전략의 기준점 차이에 의해 정해진다. 과거 수익률을 예측 변수로 할 때, 개별주식에서는 총 매수포지션과 동일 가중 시장 지수에 따른 위험 프리미엄과 시장 타이밍의 영향을 받았으며, 장기적으로 종목 선택이 유의한 설명 변수가 되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E 19017
형태사항 iii, 32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eong Jin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고우화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o Hwa Koh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29-3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