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Reading urban placeness from instagram : (a) case study of gangbuk and gangnam = 인스타그램을 통한 장소성 분석 : 강북과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서명 / 저자 Reading urban placeness from instagram : (a) case study of gangbuk and gangnam = 인스타그램을 통한 장소성 분석 : 강북과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 Minsang Yu.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383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S 19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Placeness, the combination of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a place, is used in explaining and finding urban characteristics of public places. The concept of placeness has long been studied in various areas like computer science as well as social studies and architecture, for its rising importance to urban planners and engineers as it successfully provides the knowledge base of locations. Here, we explore placeness through Instagram, a well known social media, as it works as a public diary for all users, providing rich information about their daily events in real time. We focus on two urban regions in Seoul, Gangbuk and Gangnam. We conduct our research based on a ontology-based placeness model which can discover polymorphic characteristics of urban areas. Next, we collect Instagram posts as a dataset from Gangbuk (hotspots near 14 subway stations of Gangbuk area) and Gangnam (hotspots near 11 subway stations of Gangnam area) and transform the data into a computable format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inally, we identify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regions following known social studies, as well as conduct regional analysis on their 25 districts. Our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ocial gap between Gangbuk and Gangnam, which is visualized from Instagram posts, known as binary opposition structure.

장소성은 장소의 물리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의미의 집합체로, 도시 공간의 특성을 발견하고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장소성의 개념은 장소의 지식을 습득하고 축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건축학 뿐아니라사회학,컴퓨터과학에도지대한영향을끼친다. 이논문은강북의3개지역과강남의3개지역 장소성을 유저의 활동이 기록된 인스타그램의 소셜 빅데이터에서 분석한다. 다면적인 장소성의 특성을 잘 나타내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온톨로지 기반의 장소성 모델을 사용한다. 이 논문은 강북 지역의 14개 지하 철역 근처의 핫스팟과 강남 지역의 11개 지하철역 근처의 핫스팟에 나타난 인스타그램 데이터를 수집하고, 머신 러닝 테크닉을 통해 분석 가능한 형태로 정형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강남과 강북 지역에서 나타나는 통계적 차이를 이항 대립 구조로 잘 알려진 양극화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총 25개 지하철역 근 처지역에대해서도같은분석을진행한다. 이논문의결과는강북과강남지역의이항대립구조가소셜 미디어인 인스타그램에서도 나타남을 보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S 19001
형태사항 iii, 21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유민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Dongma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동만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산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17-1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