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PDMS 기반 마이크로 구조의 복사냉각 성능에 관한 연구 = Investigation of radiative cooling performance of PDMS-based microstructure
서명 / 저자 PDMS 기반 마이크로 구조의 복사냉각 성능에 관한 연구 = Investigation of radiative cooling performance of PDMS-based microstructure / 이승윤.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355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E 1902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existing cooling system mainly uses the refrigerant gas to make the convection, consumes a lot of energy It is the main cause of accelerating global warming and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such as emission of greenhouse gas. To cope with this, the daytime radiatice cooling mechanism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system that can cool the system environmentally without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 In the daytime, the transmittance of air in the sky window region (8 $\mu$um - 13 $\mu$m) is close to 1. Thus, implementing a high emissivity in this wavelength band can maximize the radiated heat emitted into space. So, it is necessary to design effective wavelength-selective emitter which shows high emissivity at sky window region only. In this study, PDMS, which has radiation performance in the sky window region, and silver mirror, which can realize high reflectance in the solar spectrum,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using the generalized MEMS process, the performance was verified by designing and fabricating a daytime radiative cooling system with an emissivity of 90% or more.

기존의 냉방 시스템은 주로 냉매가스를 이용하여 대류를 시키는 방식으로 많은 에너지를 소비 하며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등의 도심 열섬현상과 지구온난화를 가속화시키는 주범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간환경 복사냉각 메커니즘은 에너지 소비 없이, 그리고 온실가스의 배출 없이 친환경적으로 시스템을 냉각시킬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주간환경에서는 sky window 영역(8 $\mu$m – 13 $\mu$m)에서 대기의 투과율이 거의 1에 가까운 현상을 보인다. 따라서 이 파장대역에서 높은 방사율을 구현하면 우주로 방출하는 방사열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를 제외한 파장대역에서는 태양열 및 대기복사열의 흡수를 차단하기 위한 낮은 흡수율이 필요하다. 따라서 효과적인 주간환경 복사냉각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sky window 영역(8 $\mu$um- 13 $\mu$um)에서만 방사율이 높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스펙트럼에서는 방사율이 낮은 파장선택적 방사체의 구현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sky window 영역에서 방사성능을 갖고있는 PDMS, 그리고 태양광 영역에서 높은 반사율을 구현할 수 있는 은 거울을 이용하여 기존 연구와 비교해서 효과가 뒤처지지 않고 보편화된 MEMS공정을 사용한 sky window 영역에서 90% 이상의 방사율을 갖는 주간환경 복사냉각 시스템을 설계하고 실제작함으로써 성능을 검증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E 19028
형태사항 iii, 45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eung Yoo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봉재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ong Jae Lee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1-4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