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n) analysis of image-related research misconducts in a retraction database = 논문 철회 사례를 통해 본 이미지 관련 연구부정 문제
서명 / 저자 (An) analysis of image-related research misconducts in a retraction database = 논문 철회 사례를 통해 본 이미지 관련 연구부정 문제 / Jun Gyu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351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TP 19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thesis examines image-related research misconduct cases that have occurred more frequently in recent decades with the dissemination of digital image editing technology and attempts to contribute to the policies to address the problem with an analysis of the attributes of the misconduct cases. Scientific images are a tool for communicating research results clearly, but the criteria for their creation and evaluation are often transferred tacitly between researchers. With the increasing frequency of research misconducts by individual researchers, laboratories, or institutes, several countries and institutions have defined and categorized research misconducts in the 2000s. But the actual occurrences of research misconduct are not accurately recorded or measured. By examining the guidelines and policies for ensuring research integrity, it is possible to establish five categories for empirically analyzing misconduct cases. The criteria have been applied to the retraction cases in four countries - Korea, Taiwan, China and Japan - retrieved from an online database. It has been found that image-related research misconducts are not the most common type of misconduct, but still occupy a sizeable portion of all research misconducts. More than half of the image-related cases fall in the categories of plagiarism, fabrication and falsification of images. Through this analysis, this thesis proposes a comprehensive research management policy that can decrease the number of image-related research misconducts in laboratories, research institutes and peer review processes with an emphasis on existing techniques and systems.

본 연구는 최근 20~30년간 디지털 이미지 편집 기술의 보급과 함께 주목받은 이미지 관련 연구부정 사례들을 검토하고 그 속성에 따른 대응 정책을 모색한다. 과학적 이미지는 연구 결과를 분명하게 전달하는 도구이지만 제작 과정과 평가 기준은 종종 암묵적으로 전수된다. 연구부정 행위는 2000년대 들어 여러 나라와 기관에 의해 정의되었고 개인뿐만 아니라 연구실, 연구기관 및 동료평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그 빈도는 정확히 측정되지 않고 있다. 연구진실성 확보를 위한 가이드라인과 정책을 조사하고 종합하여 실제 이미지 관련 연구부정 사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다섯 가지의 고유한 기준을 세울 수 있다. 이를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한 한국, 대만, 중국, 일본 등 4개국의 논문 철회 사례들에 적용한 결과, 이미지 관련 연구 부정 사례는 가장 자주 발생하는 종류는 아니나 수효가 상당하며, 그 중 이미지의 표절 및 위변조에 의한 사례는 절반 이상에 달함을 알 수 있었다. 이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연구실, 연구기관, 과학 출판계 내에서 이미 존재하는 기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이미지 관련 연구 부정을 억제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 관리 정책을 제시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TP 19001
형태사항 iii, 6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준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ihyung Jeo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전치형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56-6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