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Policies to enhance older driver safety: older adults' opinions = 노인 관점에서의 고령운전자 교통안전향상 정책
서명 / 저자 Policies to enhance older driver safety: older adults' opinions = 노인 관점에서의 고령운전자 교통안전향상 정책 / HakJun Oh.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352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TP 19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Purpose of the study: A key issue of transportation in an aged society is the conflict between public safety and individual mobility. Policies regarding older adults’ driving affects older peoples’ mobility and the value it creates. Therefore, considering the perspectives of the stakeholders most affected by a policy is important in policy ma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olicy model for older adults’ driving with high-acceptance by the stakeholders, while balancing public safety and individual mobility. This will be done by analyzing the opinions of older adults who are the main stakeholders of such policies. This model can later be adopted for a more comprehensive national-level policy. Design and Methods: The data came from the third wave of “Survey on the Elderly: Focusing on the Elderly Issues in Seoul” (N=3,058; mean age=73.4; 55.9% women). Participants were asked whether they think the regulatory and/or support policy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driving is needed. Those who agreed also reported their preference between more detailed policies: (a) improve traffic safety education, (b) car decals for older drivers, (c) stricter physical and cognition requirements, and (d) voluntary surrender of driver’s license. A series of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to examine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needs of policy intervention or preference of policy options. Results: Economic status (OR=1.26, p<.05) and primary transportation mode (OR1=1.28, OR2= 1.49, p<.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needs of policy intervention. Older drivers do not always prefer compensatory policies over exclusionary policies, and factors influencing preference are various depending on the policy. I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influences on the individual policy preference, primary transportation mode (OR=0.65, p<.05) on “improve traffic safety education”, economic status (OR=1.34, p<.05) on “car decals for older drivers”, driving status (OR=1.51, p<.05) on “stricter physical and cognition requirements”, and economic status (OR=1.49, p<.01) and driving status (OR=0.54, p<.01) on “voluntary surrender of driver’s licen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ications: Policies restricting older drivers’ mobility have not been strictly implemented due to the government’s anticipation of resistance, even though restricting policies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public safety. This study shows that a “stricter physical and cognition requirements” policy, a policy highly preferred by older drivers and older adults, can enhance public safety via an accelerated renewal policy. In addi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oals and potential effects of a policy should be provided before introduction. In addition, new policies must be considered if social stigmatization effects on older adults will arise or not.

연구 목적: 고령사회에서 운전과 관련된 주요 사회쟁점은 공공의 안전과 개인의 이동권 사이의 대립이다. 고령운전자정책이 고령운전자의 이동권에 영향을 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정책 결정에 있어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의 입장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운전자정책의 당사자인 노인의 의견을 분석해 공공의 안전과 개인의 이동권 사이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수용성 높은 정책 모델을 찾고 이를 국가 정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설계 및 방법: 본 연구는 ‘2016년 노인실태조사: 서울시 노인복지이슈 중심’(N=3,058명, 평균 73.4세, 여성 55.9%)의 데이터를 사용했다. 설문대상자는 고령자의 운전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받았으며, ‘예’라고 답한 이들은 4가지 정책(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 강화, 차량 스티커 배포 및 부착, 신체기능 및 인지기능 검사 강화, 면허증 반납제도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답했다(복수 선택 가능).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 및 개별 정책의 선호와 관련한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했다. 결과: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데는 경제수준(OR=1.26, p<.05)과 주요교통수단(OR1=1.28, OR2=1.49, p<.05)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고령운전자는 항상 배제적정책(신체기능 및 인지기능 검사 강화/고령운전자 면허증 반납제도)보다 보정적정책(차량 스티커 배포 및 부착/교통안전교육 강화)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고 정책별 비선호의 원인은 상이했다. 개별 정책 선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교통안전교육 강화에는 주요교통수단(OR=0.65, p<.05), 차량 스티커 배포 및 부착에는 경제수준(OR=1.34, p<.05), 신체기능 및 인지기능 검사 강화에는 운전상태(OR=1.51, p<.05), 면허증 반납제도 도입에는 경제수준(OR=1.49, p<.01)과 운전상태(OR=0.54, p<.01)가 정책의 선호를 결정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정책적 함의: 연령기반 강제적 운전규제 정책은 공공의 안전 향상에 효과적임에도 연령차별주의의 위험성과 개인의 이동권을 제한한다는 측면에서 시행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 여부를 떠나 노인에게 선호도가 높은 신체기능 및 인지기능 검사 강화 정책을 통해 면허 갱신 주기 단축 정책이 공공의 안전에 기여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새로운 정책을 도입함에 앞서 그 대상과 영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선행되어야 하고, 그 정책이 고령층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효과를 불러일으키지는 않을 지에 대한 고려가 수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TP 19002
형태사항 iii, 41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오학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oon Cho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최문정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34-3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