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coupled hydro-mechanical analysis of a high-level waste repository to assess importance of mechanical factors of bentonite buffer = 고준위 방사성 폐기 시설의 수리 역학적 해석을 통한 벤토나이트 버퍼의 역학적 영향 인자 중요도 평가
서명 / 저자 (A) coupled hydro-mechanical analysis of a high-level waste repository to assess importance of mechanical factors of bentonite buffer = 고준위 방사성 폐기 시설의 수리 역학적 해석을 통한 벤토나이트 버퍼의 역학적 영향 인자 중요도 평가 / Yoon-Soo Jeo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351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E 19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 buffer is the major component of a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Due to their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low permeability, bentonites have been considered as a key component of a buffer system in most countries. The deep geological condition generates ground water inflow and results in swelling pressure in the buffer and backfill. Investigation of swelling pressure of bentonite buffer is an important task for the safe disposal system. The swelling pressure that can be critical is affected by mechanical and hydro properties of the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a sensitiv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hydro-mechanical (HM) behaviors in the MX-80 bentoni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welling pressure generation with HM model parameters, a coupled HM analysis of an unsaturated buffer and backfill in a HLW repository was also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ajor factor of swelling pressure generation.

완충재는 심지층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저장소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벤토나이트는 높은 열전도율과 낮은 수리투과성의 특성으로 완충재의 핵심 구성 요소로 다수의 국가에서 채택되었다. 심층 처분은 지하수 유입을 일으키고 이는 완충재 및 뒷채움재의 팽윤압을 초래한다. 완충재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팽윤압은 처분용기에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정밀한 완충재의 팽윤압 예측은 안전한 처분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완충재에서 발생하는 팽창압은 완충재의 수리-역학적인 인자들에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X-80 벤토나이트의 수리역학적 거동에 대한 팽윤압 예측 모델을 세우고, 그 결과를 토대로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E 19009
형태사항 iv, 49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전윤수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eung-Rae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승래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건설및환경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45-4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