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digital diet : effects of self-regulatory IT artifacts on mobile app usage patterns = 디지털 다이어트 : 스마트폰 자기 절제와 모바일 앱 사용 패턴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The) digital diet : effects of self-regulatory IT artifacts on mobile app usage patterns = 디지털 다이어트 : 스마트폰 자기 절제와 모바일 앱 사용 패턴에 관한 연구 / Seung Yoon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341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T 1802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1121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MT 18022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constant connectivity and on-demand accessibility offered by smartphones have transformed our society into one that is “digitally overweight,” thereby creating epidemic social problems. Much research is available on physical weight-loss diets, but limited attention has been devoted to the effectiveness and consequences of digital regulatory programs.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role of self-regulatory IT artifacts (i.e., app blockers that are designed to limit smartphone usage) in dissuading smartphone owners from excessively using their devices. It also delves into how engagement in digital diets affects usage patterns for smartphone apps. Using two novel datasets that comprise large-scale app-level smartphone tracking information on individuals, we provide rich insights into both quantitative (i.e., app usage duration) and qualitative (i.e., app category portfolio) changes as smartphone owners participate in digital diets. Our findings suggest that self-blocking effectively reduces smartphone utility and that such effect is moderated by individual discount rate. The efficacy of digital diets, however, is short lived, and schemes of this type eventually end in failure in the long run. Intriguingly, we detect shifts in the quality of app consumptio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diets, despite negligible changes in consumption quantity. Most notably, the use of hedonic game apps declines and thus paves the way for the adoption of more functional apps (i.e., job and education, lifestyle, e-commerce). The results also imply that although app blocking-based digital diets induce “healthier” app usage patterns, losing digital weight entails self-control costs that are often compensated with online shopping behaviors. Finally, we provide several valuable implications that are expecte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digital diet resolution plans that are grounded in self-regulatory IT artifacts.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환경 속에서 우리 사회는 "디지털 과체중"의 시대로 변모하였다. 육체적 체중 감량 다이어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존재하나, 디지털 다이어트 프로그램의 효과와 그 시사점에 대한 관심은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폰 사용자가 자신의 기기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못하도록 관리함에 있어 자기 절제 IT 프로그램 (스마트 폰 사용을 제한하도록 설계된 앱 차단기)의 역할에 대해 고찰한다. 또한, 디지털 다이어트의 참여가 스마트 폰 앱의 사용 패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개인 스마트폰 사용량 정보를 대규모 추적, 총합 두 개의 데이터 세트를 활용하여 양적 (앱 사용 시간) 변화와 질적 (앱 카테고리 포트폴리오) 변화에 대한 풍부한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폰 소유자가 디지털 다이어트에 참여로 인해 겪게 되는 앱 사용 패턴의 변화를 관찰한다. 첫째로, 자기 차단이 스마트 폰 사용 효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그러한 효과가 개인별 시간할인율에 의해 완화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다이어트의 효용성은 단기적이며, 결국 이러한 유형의 계획은 사용량의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다만 흥미롭게도 우리는 자기 절제 앱 사용 이후 앱 소비 품질에 대한 유의미한 변화를 감지하였다. 특히, 자기 절제 앱 사용 이후 헤도닉 앱의 한 종류인 게임 앱의 사용이 줄어드는 반면 기능 위주의 앱 (예: 직업 및 교육, 라이프 스타일, 전자 상거래)의 사용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앱 차단 기반 디지털 다이어트가 "건강에 좋은" 앱 사용 패턴을 유도하지만 이러한 디지털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온라인 쇼핑 행동으로 보상되는 자기 절제 비용을 수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자기 절제 앱에 기반을 둔 효과적인 디지털 다이어트 계획 수립을 용이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는 사회 및 비즈니스적 함의를 제공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T 18022
형태사항 iii, 47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승윤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nseok Oh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오원석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44-4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