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roles and regulatory mechanisms of hepatic macrophages and hepatic eosinophils in alcoholic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알코올성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서 간 대식세포와 간 호산구의 역할 및 조절기전
서명 / 저자 (The) roles and regulatory mechanisms of hepatic macrophages and hepatic eosinophils in alcoholic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알코올성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서 간 대식세포와 간 호산구의 역할 및 조절기전 / Myung-Ho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335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MSE 1901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Hepatic macrophages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maintaining normal liver function, but also in the pathogenesis of liver disease. Therefore,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mechanism of hepatic macrophage regulation and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s using it. In obesity and metabolic diseases, eosinophils have been repo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homeostasis of metabolic function by controlling macrophages in adipose tissue. However, the mechanism by which eosinophils regulate hepatic macrophage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as not been well studied. In Part Ⅰ of this study, I confirmed that hepatic eosinophils inhibi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by modulating the inflammatory function of hepatic monocytes. In addition, I found that fat-accumulated hepatocytes secrete microvesicles enriched with phosphatidylserine. I investigated the mechanism that hepatic eosinophils produced and secrete interleukin-4 by signal transduction by phosphatidylserine of microvesicles. Hepatic macrophage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Part Ⅱ of this study, I found that hepatic monocytes differentiate into hepatic macrophages and studied the mechanism that the differentiation is mediated by $CX_3CR1$ signaling. In addition, $CX_3CR1$ signaling promoted the inflammatory function of differentiated hepatic macrophages, thereby exacerbating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간 대식세포는 간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간질환의 병리 과정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식세포의 조절 기전과 이를 활용한 간질환의 치료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비만 및 대사질환과 관련하여 호산구가 지방 조직 내 대식세포를 조절함으로써 체내 대사기능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서 호산구가 간 대식세포를 조절하는 기전은 잘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Part Ⅰ에서, 간 내 호산구가 간 내 단핵구의 염증성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을 억제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또한 지방이 축적된 간세포에서 포스파티딜세린을 다량 발현하는 미세소포가 분비되고, 미세소포의 포스파티딜세린에 의한 신호전달이 간 내 호산구가 인터루킨-4를 만들고 분비하도록 하는 기전을 연구하였다. 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병리 과정에서도 간 대식세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Part Ⅱ 에서, 간 내 단핵구가 간 내 대식세포로 분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분화가 $CX_3CR1$을 통한 신호전달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기전을 연구하였다. 또한 $CX_3CR1$이 분화된 간 내 대식세포의 염증성 작용을 촉진하여 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을 악화시킨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MSE 19012
형태사항 v, 67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명호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n Il Jeo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정원일
수록잡지명 : "$CX_3CR1$ differentiates F4/80low monocytes into pro-inflammatory F4/80high macrophages in the liver". Scientific Reports, v.8.no.1, (2018)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의과학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59-6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