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Determining and validating smart TV UX elements: a multi-study approach = 스마트 TV 사용자 경험 요소의 도출과 검증: 다중 방법론 기반
서명 / 저자 Determining and validating smart TV UX elements: a multi-study approach = 스마트 TV 사용자 경험 요소의 도출과 검증: 다중 방법론 기반 / Jincheul Ja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330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KSE 19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elevision (TV) is one of the most powerful media channels in daily life. Modern smart TVs supports highly interactive features bridging devices and users, and supports the use of various applications over an internet connection with advanced AI technology. Traditionally, technology acceptance and user experience (UX) research in information systems (IS) were applied to enhancing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usability of users and evaluating the perceived quality of IT products and services. In recent IS research, the technology acceptance and UX of smart devices have been studied, ye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developing instrument scales to describe the concept of smart TV UX and various associated smartness functions. In addition, users can perform various new functions by interacting with smart TVs, but they are not fully utilizing the smart functions of smart TVs. Therefore, the study on the UX and smartness of smart TV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ncludes 1) determining elements related to smart TV UX through experiments in both the laboratory and real-home environments; 2) verifying those extracted UX elements by measuring reliability and validity; 3) determining the effects of smart TV UX elements on user satisfaction and usage intention through structural modeling; and 4) understanding the smartness effect and comparing such effects with generic UX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lude the following: We will identify and verify various UX elements related to smart TVs using a multiple method rather than a single approach. Next, we will produce appropriate and valid questionnaire items regarding UX elements. We will also examine the effect of smart TV UX and smartness elements on user satisfaction and usage intention through structural model analysis. Also,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UX and smartness elements, we will confirm the effect of smartness as a part of holistic UXs and distinguish from generic UXs. The actual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mprove the UX or smartness of smart TVs, enhance user satisfaction, and ultimately help smart TV manufacturers and service providers.

텔레비전은 일상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미디어 채널 중 하나이다. 스마트 TV로 대표되는 최신의 텔레비전은 AI 및 사물 인터넷 등의 기술을 통해 기기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성이 높은 기능을 지원하고, 인터넷 연결을 통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전통적으로 정보 시스템의 기술 수용 및 사용자 경험 연구는 사용자가 지각하는 유용성 및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전자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최근 정보시스템 연구에서 스마트 기기의 기술 수용과 경험 연구를 다루었지만, 미디어 장치인 스마트 TV 사용자 경험의 개념을 연구하거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TV 사용자 경험을 설명하는 척도를 개발했던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또한 스마트 TV 사용자는 스마트 TV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다양한 새로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스마트 TV의 스마트 기능을 완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 TV의 사용자 경험을 파악하고, 스마트니스 연구를 통해 스마트 기능의 효과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실험실 환경의 실험과 가정 환경에서의 관찰을 통해 스마트 TV 사용자 경험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2) 신뢰성 및 유효성을 측정하여 앞서 추출된 사용자 경험 요인을 검증하고, 3) 발견된 스마트 TV 사용자 경험 요인을 기반으로 구조 모델링을 통해 사용자 만족 및 사용 의도에의 영향을 파악하며, 4) 스마트 TV의 스마트니스 효과 요소를 결정하고, 일반적인 UX와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실 및 가정 환경에서 스마트 TV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의견을 수집하여 스마트 TV의 사용자 경험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감정을 분석하였다. 하나의 단일 접근법이 아닌, 여러 가지의 사용자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스마트 TV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를 식별 및 검증하였다. 도출된 사용자 경험 및 스마트니스 요소로부터 적절하고 타당한 설문 문항을 생성하였으며, 구조 모델 분석을 통해 스마트 TV의 사용자 경험 및 스마트니스 요소가 사용자 만족 및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사용자 경험과 스마트니스 요소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 경험의 일부이자 구분가능한 요소로서 스마트니스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실제적인 결과는 스마트 TV의 사용자 경험과 스마트니스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만족과 사용 의도를 향상시켜, 최종적으로 스마트 TV 제조업체와 서비스 제공 업체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KSE 19001
형태사항 v, 10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장진철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un Yong Y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문용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지식서비스공학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88-9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