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Investigating success factors for crowdfunding in politics and civic projects = 정치 및 시민 프로젝트에 관한 크라우드펀딩 성공 요인 분석
서명 / 저자 Investigating success factors for crowdfunding in politics and civic projects = 정치 및 시민 프로젝트에 관한 크라우드펀딩 성공 요인 분석 / Riri Kusumarani.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307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P 19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Citizen participation has become the core idea of government 2.0 in which citizens are actively involved in public issues of governance and decision-making.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internet are now encouraging new forms of citizen participation to emerge. Among these new forms, we are now familiar with concepts such as e-petition, e-voting, and crowdfunding.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wo types of crowdfunding application, which emerges as an innovation in the citizen participation context. First, the rising trends of politicians who flock into the crowd to gather campaign fund bring our focus to crowdfunding for politics. Second, the presence of government who take part in crowdfunding project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civic projects proposed by citizens, bring our attention to crowdfunding for civic projects. Although the two trends exist, there are not many studies available that explore these two phenomena. Our first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crowdfunding for politics. By employing the civic voluntarism model and cognitive dissonance theory, this study develops an integrated model to explain people’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online political crowdfunding. Moreover, it examines how citizens see themselves with the politician and how they see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The results show that perceived congruence between politicians and individuals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driving factors for online political crowdfunding participation. The findings further reveal that perceived congruence is lowered by individuals’ negative perception of the political situation. The second study in chapter 3 explores crowdfunding in the form of civic crowdfunding. With the primary objective to understand citizens motivation to engage in civic projects through crowdfunding, this part of the dissertation examines the role of corruption perception, psychological distance toward the project and the role of trust in behavioral intention. Our integrated model is designed to test the robustness of the civic voluntarism model outside the political context. The result shows that in the context of crowdfunding for civic projects, the civic voluntarism model can explain more than 50% of people’s behavioral intention. Moreover, two main determinants that can explain people’s intention to participate are the perceived social distance and community engagement. Unlike previous research in crowdfunding, one out of two type of trust within the second study is not significant in people’s behavioral intention to crowdfund. This dissertation contributes to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crowdfunding to disrupt the citizen participation area. Both studi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gruence as a motivating factor in crowdfunding. A high congruence between donors and project owners, portrayed as politicians, on study 1 and higher congruence between donors and project characteristic, portrayed as social and spatial proximity, on study 2, can trigger citizen to participate in crowdfunding. In addition, both studies extend and test the civic voluntarism model in the crowdfunding context and found that different type of crowdfunding exercised different essenti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citizens’ intention to participate.

많은 시민들은 정부의 의사결정이나 공공 문제에 활발히 관여하려 한다. 따라서 시민 참여는 정부 2.0의 핵심 아이디어로 자리잡았다. 현재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의 등장은 시민 참여의 새로운 형태의 등장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형태 중에서, 전자 청원, 전자 투표 그리고 크라우드 펀딩이 주요한 도구로 등장하였다. 본 학위 논문은 시민 참여에서 혁신으로 떠오르는 두 가지 유형의 크라우드 펀딩 프로그램에 중점을 두고 있다. 첫째, 선거 자금을 모으기 위해 군중에게 접근하는 정치인들의 증가하는 추세는 연구의 초점을 정치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에 맞추게 하였다. 둘째, 시민들이 제안한 프로젝트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시민의 존재는 시민 프로젝트를 위한 크라우드 펀딩에 중점을 두게 하였다. 이 두 유형의 크라우드 펀딩에 대해서는 선행 연구가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 첫 번째 연구는 정치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을 조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연구는 시민 자발성 모형과 인지 부조화 이론을 사용하여, 사람들이 온라인 정치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하려는 목적을 설명하는 통합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시민들이 정치인들과 비교하였을 때 스스로를 어떻게 보는지, 현 정치 상황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정치인들과 개인들 간의 인지된 일치가 온라인 정치적 크라우드 펀딩 참여의 가장 영향력 있는 요소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 결과는 정치적 상황에 대한 개인의 부정적 인식에 의해 인지된 일치가 낮아진다는 것을 제시한다. 두 번째 연구는 시민 크라우드 펀딩을 탐구한다.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시민 프로젝트에 참여하려는 시민들의 동기를 이해하려는 주요 목적과 더불어, 부패 인식의 역할, 프로젝트에 대한 심리적인 거리 그리고 행동 의도에 대한 신뢰의 역할을 조사한다. 이 통합 모형은 정치적 맥락을 벗어나 시민 사회의 자주적 모형의 견고함을 시험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그 결과, 시민 프로젝트의 크라우드 펀딩 맥락에서 볼 때 시민 자주적 모형은 사람들의 행동 의도를 50% 이상 설명할 수 있었다. 시민 참여 의도를 설명할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결정 요인은 인지된 사회적 거리와 지역 사회 참여이다. 선행 연구와는 달리, 두 번째 연구에서 신뢰의 두 가지 유형 중 하나는 크라우드펀딩에 대한 사람들의 행동 의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학위 논문은 시민 참여 영역을 방해하는 크라우드 펀딩의 잠재적 가능성을 강조함으로써 이론적이고 실질적인 영향력을 제시한다. 두 유형의 연구 모두 크라우드 펀딩의 동기부여 요소로서 일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첫 번째 연구에서 정치인으로 묘사된 프로젝트 소유자와 기부자 간 높은 일치와 두 번째 연구에서 사회적 공간적 근접성으로 묘사된 프로젝트 특성과 기부자 간 더 높은 일치는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두 연구 모두 크라우드 펀딩 맥락에서 시민 사회 자주적 모형을 확장하고 실험한 결과, 크라우드 펀딩의 다양한 유형은 시민들의 참여 의도에 기여하는 여러 중요한 요소들을 행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P 19003
형태사항 x, 94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리리 꾸수마라니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angJung Z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항정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글로벌IT기술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References : p. 77-8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