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e in public institutes of developing countries = 개발도상국 공공 기관의 정보기술 사용에 대한 이해
서명 / 저자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e in public institutes of developing countries = 개발도상국 공공 기관의 정보기술 사용에 대한 이해 / Dibakar Luitel.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307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P 19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long with the development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public sector has witnessed rapid growth in ICT adoption and technology transfer for improving public services. Over recent years, developing countries have prioritized the transformation thorough ICT enabled service delivery mechanisms, such as e-government initiatives to ensure efficient, effective, transparent, and responsive services to the citizen. The growing demands from citizen and business for responsive and effective government services amplifies the importance of ICT deployment in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Academia has shown greater interest in harnessing the ICT benefits effectively through maximizing the investment and mitigating the risk associated with ICT.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case of developing countries concentrating on users’ behavior on adopting information technology. It contemplates the uniqueness of government setting into widely accepted research models in information system (IS) to examine user’s behavior through primary survey of targeted respondents from government employees in Nepal. The objective of the dissertation is to understand user’s behavior toward adoption and continue intention to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public service delivery with a view to point out critical issues for the success of ICT initiatives in developing countries. Building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study first identifies appropriate models to analyze users’ adop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ntion to use new technology. Then, it incorporates social power theory and construal level theory into the models to analyze users’ behavior in the government organization setting.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two studies: The first essay combines social power in organizational perspective and use of technology. It investigates role of transparency, accountability, trust, and work-fitness in the context of supervisor power and peers’ power on users’ continue intention. The second essay concentrates on users’ hindering behavior in regards to new information technology. It builds on status quo theory that users’ inertia and habit increase switching cost of new information technology. Further, it develops on Theory of Reasoned Action that trade-off between switching benefits and switching costs influences subjective norms and users’ attitude towards intention to use new information technology. It incorporates social, technical, and temporal construal from construal level theory to contextualize the uniqueness of government organization setting to examine their moderating roles between subjective norms and users’ intention as well as attitude and users’ intention for new information technology. The studies rely on extensive discussion with the focal government officers responsible for e-government projects, 161 survey responses for first study, and 207 survey responses from targeted respondents from government employees in Nepal. The results show that transparency and trust positively influence users continue intention that further increases through moderating effects of peers’ power on accountability. The results also show that higher inertia and habit both increases switching cost and provides negative perception of new technology.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technical, and temporal construal show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 for users’ intention to new information technology. The findings of the studies indicate that social power role influences user’s behavior that also obtained validity through experts’ opinions. It suggests that users’ attitude to use new technology improves when they find social support, technology becomes more familiar to them, and tasks are time-defined. However, some of the hypotheses couldn’t find strong support including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technical, and temporal construal play totally different role on between subjective norms and the intention because the atmosphere may not be encouraged from the individual level’s specification. The studies provide evidence that managerial initiatives to familiarizing users about the new technology improves their attitude for using new technology. Thus, it recommends government organizations to incorporate such measures while implementing new ICT projects. Furthermore, the studies make academic contribution by introducing social power theory and construal level theory into established research models in information system, which may be utilized in future studies. The constructed indicators for all three social, technical, and temporal construal measures have been confirmed reliability and validit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hich is another useful contribution as a tool for future study using construal level theory.

정보 통신 기술 (ICT)의 발달과 더불어 공공부문에서는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보기술 채택 및 기술 이전의 급속한 성장을 이뤄냈습니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개발 도상국에서는 국민들에게 효율적이고 투명하며 즉각적인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전자 정부와 같은 IC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메커니즘을 통한 내부 변환을 우선 순위로 삼았습니다. 즉각적이며 효율적인 정부 서비스에 대한 국민들과 산업계의 요구가 상승함에 따라 정부 기관 내에서의 ICT 도입의 중요성은 날로 증폭되고 있습니다. 또한, 학계에서는 ICT투자를 극대화하고 관련 위험을 완화함으로써, ICT 도입을 통해 얻는 효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주목해왔습니다. 본 박사 논문은 개발도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ICT 도입에서의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네팔 정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해 기술도입 및 기술의 지속적 사용에 대한 사용자 행동을 살펴봄으로써 개발도상국 내 성공적 기술도입의 중요 요소들을 확인하고자 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ICT 채택 및 신기술 사용 의도를 파악하고 사회 권력 이론 및 해석 수준 이론의 관점을 적용하여 정부기관 내에서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고자 합니다. 본 박사 논문은 두 가지 에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번째 에세이는 조직 관점에서 사회적 권력이 기술 사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합니다. 관리자 권력, 구성원 권력, 외부 영향력의 관점에서 책임감, 투명성, 신뢰 및 업무 적합도가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두번째 에세이는 사용자의 관성 및 습관이 신 기술 도입의 전환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현상유지 이론을 중심으로 신기술 도입 시 사용자의 기술도입을 지연시키는 요소에 초점을 두었고, 사회적, 기술적, 시간적 해석에 따른 차이를 주관적 통념과 사용자 의도 및 태도와 사용자 의도 간의 조절변인으로 살펴보았습니다. 네팔 정부기관 소속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각각 161개, 207개의 설문결과를 확보하였고, 설문결과를 기반으로 한 분석에서 투명성과 신뢰도는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 뿐 만 아니라 구성원의 책임감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신기술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태도가 사회적 지지를 얻었을 때, 기술이 비교적 익숙해졌을 때, 혹은 업무 완료에 대한 시간적 제한이 명시되었을 때에 향상된다는 점입니다. 본 학위논문을 통해 제시된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정보시스템 학술연구에 기여할 것이며 정부의신기술도입전략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됩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P 19002
형태사항 ix, 73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디바카 루이텔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ul Ho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철호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글로벌IT기술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References : p. 57-6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