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한국 주식시장 주식 수익률의 역동적 횡단 자기 상관성 = Dynamic cross-autocorrelation of stock returns in the korean stock market
서명 / 저자 한국 주식시장 주식 수익률의 역동적 횡단 자기 상관성 = Dynamic cross-autocorrelation of stock returns in the korean stock market / 전승엽.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281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E 18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1041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FE 18004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time-varying cross-autocorrelation between small-cap stocks and large-cap stocks portfolio returns based on Korean stock market data from 1999 to 2017, and compares prevailed models predicting small-cap and large-cap stocks portfolio with EVAR model including the dynamic cross-autocorrelation in order to show that dynamic cross-autocorrelation is an imperative factor in forecasting SMB variables. In conclusion, models that can better explain dynamic cross-autocorrelation than models that have been widely used, such as autocorrelation models or macroeconomic models, are able to show better performance in SMB variable prediction because relation between small- and large- portfolio returns are inconstantly changing over time.

이 논문에서는 1999년부터 2017년까지의 한국 주식시장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형주 포트폴리오와 대형주 포트폴리오 수익률 간의 시간에 따라 변하는 횡단 자기 상관성을 실증 분석하고, 기존의 소형주와 대형주 포트폴리오를 예측하기 위해 제안된 모델들과 역동적 횡단 자기 상관성을 포함한 EVAR 모델을 실증 분석 및 비교하여 역동적 횡단 자기 상관성이 SMB 변수의 예측에서 중요한 요소임을 밝혀내었다. 결론적으로 기존에 널리 사용되어 왔던 자기 상관 모델이나 거시 경제 변수들을 포함한 모델들보다 역동적 횡단 자기 상관성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이 SMB 변수 예측에서 더 나은 성과를 보여줄 수 있었던 이유는, 소형주와 대형주 포트폴리오 수익률 상관관계 시차의 정도가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E 18004
형태사항 30 p.: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eung Yup Jeo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진용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in-Yong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29-3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