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ttribute of screen-based virtual space and its artistic uses = 스크린 기반 가상공간의 속성 분석과 예술적 활용
서명 / 저자 Attribute of screen-based virtual space and its artistic uses = 스크린 기반 가상공간의 속성 분석과 예술적 활용 / Jungsun Park.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261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CT 18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the 20th century—an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art faced a new era reconsidering the ways to record and represent the observable world with the emergence of photography and film. Whereas,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advent of computers, the art of the digital age is accompanied by innovative changes from material-based artworks to art forms based on digitally generated virtual spaces. The concept of a virtual space in a broad sense can be found in pictorial virtual spaces starting with prehistoric cave paintings to the Renaissance paintings which were intended to create illusionary spaces. Chronically, the beginning of a virtual space that simultaneously realizes spatiality and temporality of the real world has taken off since the invention of film. After, the technologies of computer and internet have expanded the forms and meanings of virtual space to be immersive, responsive and connected. Along with a rapid progression of this digital technology, visual and performing arts have also transformed from being based on physical materials and spaces to being created through virtual spaces or within. Accordingly, this dissertation aims to define the meaning and the attribute of virtual space and to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to reinterpret and classify virtual space mediated artworks. The principal elements forming the taxonomy framework are based on three attributes of virtual space: networked, responsive, and multi-layered. They were derived through investigating and comprehensively summarizing the existing digital aesthetic theories and concept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multi-layered' extends from the literal meaning of synthesis of multiple layers to the figurative meaning of generation and transformation of images continuously and seamlessly composited. Based on these three attributes, I discuss and verify the framework and its artistic applications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cases of network performances, interactive arts, and visual effects in recent pop music videos.

사진, 영화의 등장과 함께 20세기는 기술 복제 시대의 예술이 가지는 현실세계의 기록과 재현의 문제를 고찰하는 시대였다면, 컴퓨터의 등장과 함께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예술은 물질을 기반으로 하는 예술형태에서 디지털적으로 생성된 가상공간을 기반으로 하는 예술형태로 넘어가는 혁신적인 변화와 함께한다. 넓은 의미에서의 가상공간의 개념은 환영적 공간을 만들고자 했던 선사시대의 동굴벽화에서부터 르네상스 회화로 이어지는 회화적 가상공간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현실세계의 공간성과 시간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가상공간의 시작은 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영화의 발명 이후로 본격화 되었다. 이후, 컴퓨터로 만들어진 디지털 가상공간은 그 형식과 의미를 확장시켜 몰입적이고 중첩적인 형태로 발전함과 동시에 현실세계의 공간성과 시간성을 새롭게 확장, 변형, 재창조 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공간의 급속한 대두와 함께 디지털 시대의 예술 또한 기존의 물리적 재료와 공간을 기반으로 하던 시각예술과 공연예술의 형태에서 가상공간을 매개로 하는 예술 형태 또는 가상공간 내에서 생성되고 만들어지는 예술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가상공간의 의미와 속성을 정의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가상공간을 매개로 하는 예술작품들을 재해석하고 분류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 논의 되고 있는 디지털 미학의 이론과 개념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도출해낸 세가지 가상공간의 속성을 그 이론적 틀을 구성하는 기본 원리로 삼았으며, 그 세가지로 연결적(Networked), 반응적(Responsive), 다층적(Multi-layered) 속성을 제시한다. 특히, 가상공간의 ‘다층적’ 개념은 글자 그대로 다수의 레이어로 이루어진 합성의 의미에서부터, 연속적인 이미지들이 지속적이고 흔적 없이 연결되는 생성과 변형의 의미로까지 확장하여 다루고자 한다. 이 세 가지의 속성을 바탕으로 그에 상응하는 예술적 활용의 작품사례로 네트워크 퍼포먼스 작품,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 그리고 마지막으로, 뮤직비디오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시각효과 사례를 살펴보고 그 각각의 속성을 검증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18005
형태사항 vii, 91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박정선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unyong Noh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노준용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wangyun Wohn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원광연
Including appendix
수록잡지명 : "Traversing Immersion: The Psychedelic Experience in Recent Music Videos". The Senses and Society, v.13.no.2, 255-260(2018)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72-7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