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Understanding the use contexts : (a) focus on computing devices and digital services = 사용 맥락에 대한 이해 : 컴퓨팅 기기와 디지털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명 / 저자 Understanding the use contexts : (a) focus on computing devices and digital services = 사용 맥락에 대한 이해 : 컴퓨팅 기기와 디지털 서비스를 중심으로 / Jimi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232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BTM 18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dissertation aims to facilitat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use contexts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devices and digital services, and is composed of two parts: 1) Use context changes of computing devices; 2) Use contexts of digital services with measurement instru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Part 1 investigates the use contexts of personal computing devices through three research steps and conducts in-depth analysis of smartphone use context. In addition, the determinants of use context changes for smartphones are investigated using the technology-to-performance chain model. In Steps 1 and 2, a diary study method and Korean Media Panel research data for 2014-2015 (provid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are used. To analyze these data, correspondence analysis, chi-square independence tests, and standardized residual analyses are conducted. In Step 3, a research framework to investigate use context changes is developed and validated using both a survey metho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ence, it is found that the use contexts for personal computing devices differ depending on the device, with clear distinctions being apparent. In addition,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and their multiple different usage patterns have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smartphone use context. From the research model, it is found that awareness of device performance improvements for regular tasks motivates users to expand their smartphone usage scope and frequency. In addition, users feel that there is scope for improvement in smartphone content and functions to support regular tasks. Overall, Part 1 of this dissertation reports novel early-stage research findings and empirical evidenc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suggestions are also presented. Part 2 of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use context of digital services for instru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and verifies the effects of use context on user intentions to use game services (some of the most widely use context-related digital services). First, a new general use context categorization is proposed and a research framework is develop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the relevant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the actual manifestation of use context in the context of digital services is explored using correspondence analyses (CA) and the diary study method. Third, instruments to measure the perceived use contexts of game services are developed and validated using statistical methods. Fourth, the effects of four perceived use contexts (time, location, social, and technological context)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re verified. It is found that the perceived use context can be measured by time of day, day of the week, physical distractions, location characteristics, social place, occurrence of social relations, connected device, and network connectivity. As a result, the perceived use contexts affect the manner in which users engage with diverse digital services. This part of the dissertation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o verify perceived use context of digital services and constitutes early-stage research for development of use context instruments. The findings of this dissertation will enable researchers to empirically verify use contexts in relation to various IT research topic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dissertation is the provision of guidelines for other empirical studies on device or IT-service use contexts, along with its general implications for the associated research fields and industries.

본 학위논문은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 기기와 디지털 서비스의 사용 맥락에 대하여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개인용 컴퓨팅 기기의 사용 맥락 변화에 대한 연구와 디지털 서비스의 사용 맥락과 그 측정 도구 개발 연구로 구성되었다. 먼저 첫번째 연구에서는 세가지 분석 단계를 거쳐 개인용 컴퓨팅 기기의 사용 맥락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개인용 컴퓨팅 기기의 사용 맥락에 대한 탐색적 분석 후,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스마트폰의 사용 맥락의 변화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의 사용 맥락 변화의 결정요인들에 대한 탐색과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 졌다. 이 첫번째 연구는 IT 기기의 사용 맥락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초기 연구로써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사용 맥락에 대하여 이론과 통계적 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두번째 연구에서는 디지털 서비스의 사용 맥락에 대하여 탐색하고 사용 맥락을 측정 가능한 학술적 개념으로 발전시켰다. 먼저 맥락과 사용 맥락 개념을 다룬 다수의 문헌들을 검토하여 사용 맥락의 종합적인 분류체계를 제시하였으며, 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사용 맥락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분석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디지털 서비스의 사용 맥락을 분석하였다. 세번째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인지된 사용 맥락(시간, 장소, 사회적, 기술적)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게임 서비스 수용 모델에 인지된 사용 맥락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두번째 연구는 사용 맥락을 정교하게 측정하고자한 첫 번째 학술연구로써 그 의미가 매우 크며, 측정 도구를 개발해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시사점이 많다. 또한 추후 다양한 IT 서비스의 사용 맥락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학위논문을 통해 제시된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은 다양한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s, IS) 및 IT 학술연구에 기여할 것이며, 실제 기기나 서비스 개발에 있어서 실무적인 가이드라인과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BTM 18002
형태사항 v, 119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지민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eong-Cheol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명철
수록잡지명 : "Use Contexts of Personal Computing Devices: Determinants of Use Context Changes".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v.117.no.10, pp.2431-2451(2017)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86-10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