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Improvement of photoluminenscence quantum yield of halide perovskite through structrual modification and nanocrystal synthesis = 할라이드계 페로브스카이트의 구조적 변형 및 나노입자 합성을 통한 광 발광 효율 증대
서명 / 저자 Improvement of photoluminenscence quantum yield of halide perovskite through structrual modification and nanocrystal synthesis = 할라이드계 페로브스카이트의 구조적 변형 및 나노입자 합성을 통한 광 발광 효율 증대 / Joon Yu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224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S 1802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Perovskites are attractive for solar absorber materials, with extremely enhanced 22.1% of power conversion efficiency within 5 years. In theory, good solar absorbing materials also could be good light emitting materials, and in addition, the intrinsic property of narrow emission line width (~ 20nm) of perovskite material makes perovskite sas emerging materials for display application. But, the exciton binding energies of perovskite materials are quite low, so generated excitons are easily decomposed as free carriers, result in low PLQY. In this study, we improved PLQY of perovskite materials by structural modification through controlling stoichiometry, and crystal size modification. In $FAPbBr_3$ films with FABr/$PbBr_2$ = 2 nonstoichiometric precursor solutions, we obtained 25% of PLQY by formation of Low-dimensional/3D heterojunction. For nanocrystal synthesis, we achieved 76.2% of PLQY in $CsPbBr_3$, and 29% in lead-free $Cs_3Sb_2Br_9$ nanocrystal.

페로브스카이트는 5년 간의 짧은 기간 동안에 22.1%의 광 변환 효율을 달성하는 등 차세대 태양전지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론적으로 좋은 태양전지 재료는 좋은 발광소자의 재료가 될 수 있으며 페로브스카이트 특유의 20 nm 수준의 좁은 발광 스펙트럼으로 인해 고색순도 디스플레이로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페로브스카이트의 엑시톤 결합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엑시톤은 상온에서도 자유 전하로 쉽게 해리되며 이는 낮은 광 발광 효율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양론 조절을 통해 페로브스카이트의 구조적 변형 및 나노크기의 입자 형성을 통해 광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FAPbBr_3$ 페로브스카이트 재료에서 $FABr/PbBr_2$ = 2 의 비화학양론의 용액을 통해 저차원/3차원 이종접합 구조의 박막 형성으로 25%의 광 발광 효율을 달성하였다. 또한 나노입자 형성을 통해 $CsPbBr_3$ 나노입자의 경우 76.2%, 비납계 $Cs_3Sb_2Br_9$ 나노입자의 경우 29%에 육박하는 광 발광 효율을 달성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S 18024
형태사항 v, 56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준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yung Ha Shi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신병하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신소재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53-5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