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스마트폰 사용 중재를 위한 행동장치 디자인 및 사용자 경험 연구 = Design and user experiences of commitment devices for regulating smartphone usage
서명 / 저자 스마트폰 사용 중재를 위한 행동장치 디자인 및 사용자 경험 연구 = Design and user experiences of commitment devices for regulating smartphone usage / 정하영.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218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KSE 18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People set their goals for behavior change and are eager to restrain their choices to achieve those goals. This mechanism for behavioral changes is called the commitment device. Due to the recent advances of interactive technologies, there has been significant interest in integrating the commitment devices within user interaction. However, there has been lack of systematic user studies on the impact of coerciveness of commitment devices on user experiences, and the usage patterns of commitment devices. This thesis aims to take the first step towards understanding user behaviors of commitment devices by focusing on regulating smartphone use. Recent literature on smartphone usage intervention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regulating overall smartphone use time, but also self-managing smartphone distractions due to frequent usage. Toward this goal, I developed GoalKeeper which helps users to review their usage behaviors and supports two kinds of commitment devices: (1) allowing users to set weekly plans for daily usage goals, and keep their daily goals with “sustained” commitment devices; and (2) allowing users to self-manage smartphone distractions in their daily activities with “temporary” commitment devices. GoalKeeper help users to keep their daily goals by visualizing their usage records on the notification bar and supports three sustained commitment devices with varying degrees of coerciveness when users exceed their usage goals: (1) repeatedly alarming over usage; (2) allowing limited time usage after temporarily locking the phone; (3) completely locking the phone until midnight. Furthermore, GoalKeeper supports a temporary commitment device where users can voluntarily lock their phones when they start their activities (e.g., work/study, socializing, resting) to avoid smartphone distraction. To evaluate user experiences and usage patterns of various commitment devices, a user study was conducted for four weeks (n=44).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compared with less coercive commitment devices, frequent goal changes were observed in coercive commitment devices, and those who used coercive commitment devices set much lower goal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usage amount were observed across different mechanisms, overall the use of commitment devices significantly lowered their smartphone usage.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smartphone locking was deemed as a useful commitment mechanism, but its stress hindered them from setting tighter goals, which partly explain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usage values. Regarding the influence of smartphone distractions on cognitive focu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different sustained commitment mechanisms. Interestingly, the use of temporary commitment, or self-locking before an activity begins was considered very useful for self-managing smartphone distraction, but the burden of self-initiating locks was considered a major roadblock to its frequent usage. Our major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designing novel commitment devices for smartphone intervention.

많은 사람들이 행동 변화를 위해서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미래의 자신의 선택을 기꺼이 제한하기도 한다. 이를 지원하는 수단을 행동장치라고 부른다. 최근 IT 기술을 활 용한 행동장치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행동장치의 강압도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과 행동장치의 자발적인 사용패턴에 대한 사용자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 중재를 사례로 이러한 행동장치에 대한 사용자 연구를 수행한다. 스마트폰 사용중재에서는 전반 적인 사용시간의 조절과 함께 잦은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일상생활 방해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 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적극적인 스마트폰 사용중재를 위해 자신의 사용 패턴을 리 뷰하는 기능과 함께 (1) 일일 사용목표에 대한 주간계획를 수립하고 이를 지킬 수 있도록 돕는 지속적 행동장치와 (2) 일상 활동에서 스마트폰 방해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일시적 행동장치 를 지원하는 GoalKeeper앱을 개발하였다. GoalKeeper는 일일 사용목표 달성을 위해서 목표대비 현재 사용현황을 알림창에 지속적으로 가시화 할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이 3가지 강압도를 갖는 지속적 행동장치를 지원한다. 즉, 스마트폰 사용 목표를 초과하면 (1) 알림을 주는 경고 방식, (2) 잠금과 사용을 반복하는 반복적인 사용-잠금 방식, (3) 자정까지 완전히 잠기는 완전 잠금 방식을 지원한다. 또한 주요한 일상활동(일/공부, 친교, 휴식 등) 시작전에 스마트폰 방해를 조 절하기 위해 스스로 스마트폰을 일시적으로 잠그는 일시적 행동장치를 지원한다. 다양한 행동장 치에 대한 사용자 경험과 사용 패턴분석을 위하여 44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4주간 집단 내 실 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잠금의 강도가 강할수록 주간계획 변경 횟수가 많았고, 일일 사용 목표를 자신의 평소사용시간과 대비하여 여유롭게 설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행동장치 간에 스마트폰 사용량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평소 스마트폰 사용량 대비 모두 유의미한 감 소가 있었다. 인터뷰 분석 결과 잠금기능은 스마트폰 사용 중재에 큰 도움이 되는 행동장치로 드 러났지만 스마트폰 사용 불가에 대한 강압감과 스트레스로 인하여 일일 목표설정이 상대적으로 느슨하였고 이로 인해 사용량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일상생활 집중도 측면에서는 지속적 행동장치보다는 활동 시작 전에 스스로 스마트폰을 잠그는 일시적 행동장치가 유용하였으나 매번 활동 시작 전에 행동장치를 설정해야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사용률이 낮았다. 본 연구의 주요 한 발견내용은 행동장치 기반의 스마트폰 중재 기법의 확장과 함께 행동장치 디자인에 대한 다양 한 함의 내포하고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KSE 18005
형태사항 v, 93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Hayoung Ju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의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Uichin Lee
부록: A, 행동변화 장치 6단계 설문. - B, 실험 시작 전 설문. - C, 매 주 실시했던 주간 평가 설문. - D, 실험 종료 후 진행한 설문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지식서비스공학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88-9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