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고 에너지 감마선 측정을 위한 서베이미터 에너지보상필터 최적화 시뮬레이션 = Optimization of the energy compensation filter of survey meters for high energy gamma ray
서명 / 저자 고 에너지 감마선 측정을 위한 서베이미터 에너지보상필터 최적화 시뮬레이션 = Optimization of the energy compensation filter of survey meters for high energy gamma ray / 조문형.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201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NQE 1801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Gamma ray survey meters are used to measure ambient dose equivalent rates before and after radiation works at nuclear power plants. The detector commonly used in gamma ray radiometer is a GM tube, which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large pulse signal produced by interaction with radiation. Because gamma ray survey meters using GM tubes have a wide energy response depending on the energy of incident radiation, an energy compensation filter is used to reduce the response. However, commercial gamma ray survey meters mostly show the energy response less than 1.5 MeV, high energy gamma rays like 7.1MeV, which is emitter from $^{16}N$, are not measured correctly. To improve this problem, the optimization of material, thickness, and gap distance for the energy compensation filter was performed using the MCNP code to ensure that the energy response of the survey meter is within 40% of the range from 20 keV to 7.1 MeV given by IEC standards.

감마선 서베이미터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선작업 $전\cdot후$ 공간방사선량률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감마선 서베이미터에 주로 사용되는 검출소자는GM 튜브인데 구성이 단순하고 방사선에 의해 생성되는 펄스신호가 크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GM 튜브를 이용하여 제작한 감마선 서베이미터는 에너지에 따라 반응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에너지보상필터를 검출기 외부에 부착하여 반응도 차이를 감소시켜준다. 그러나 현재 상용화된 감마선 서베이미터는 대부분 1.5 MeV 이하에서만 반응도가 제시되고 있어 최대 7.1 MeV 를 방출하는 $^{16}N$ 같은 고에너지 감마선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감마선 서베이미터에 사용되는 GM 튜브의 에너지 보상필터 재질선정, 두께 및 필터 Gap 최적화를 통해 IEC 규격에서 제시하는 반응도 범위 20 keV ~ 7.1 MeV 까지 40 % 이내가 되도록 에너지 보상필터의 최적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NQE 18019
형태사항 v, 55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Moonhyung Ch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규성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Gyuseong Cho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3-5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