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첫 댓글의 방향이 다음 댓글의 방향에 미치는 영향 : 동조 현상을 중심으로 = Conformity in online comments on news and community sites
서명 / 저자 첫 댓글의 방향이 다음 댓글의 방향에 미치는 영향 : 동조 현상을 중심으로 = Conformity in online comments on news and community sites / 심언우.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172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M 1701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0791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IM 17016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conformity in online comments on news and community sites. In order to verify this, selected each representative news site and community site first, and collected actual comments on it. The effects of the first comment on the following 10 comm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collected comments were classified to the tone of article as agree, disagree, and neutral by the two researchers after reading them directly.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evaluators was 89.09% on average.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classified as a group that the first comment is agreeing to the tone of article, and the other group that the first comment is disagreeing to the tone of article. Cross-tab analysis verified the frequency of conforming case that the following comment is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mment.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conforming case in each group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It was proved that the first reply influences on the tone of the following comments on both news and community sites. Especially the result shows that the more severe conformity appears on news site than community site.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게시물에 작성된 첫 댓글의 방향이 다음 댓글의 방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표 뉴스 사이트와 대표 커뮤니티 사이트를 선정한 후, 해당 사이트 내의 실제 댓글을 수집(crawling)하여, 첫 댓글의 방향이 이어지는 다음 10개 댓글의 방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수집된 댓글을 2명의 연구자가 직접 읽어본 뒤 댓글이 게시물의 논조에 동의하는가(agree), 비동의하는가(disagree), 중립적인가(neutral)로 분류하였으며, 평가자간 신뢰도는 평균 89.09%였다. 분석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첫 댓글이 게시물의 논조에 동의하는 집단과 첫 댓글이 게시물의 논조에 비동의하는 집단으로 분류한 후, 각 집단 내에서 이어지는 다음 10개 댓글이 첫 댓글의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conform)의 빈도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교차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집단에서 첫 댓글의 방향과 일치하는 다음 댓글의 빈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뉴스 사이트와 커뮤니티 사이트 모두 첫 댓글의 방향이 다음 댓글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뉴스 사이트의 댓글에서 발생하는 동조 정도가 커뮤니티 사이트보다 강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M 17016
형태사항 iii, 29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Unwoo S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정재민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e Min Jung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정보경영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6-2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