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Open innovation and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 Perspectives of technical, non-technical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 개방형 혁신과 지속적 경쟁 우위 : 기술적.비기술적 활동 및 조직 역량 관점
서명 / 저자 Open innovation and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 Perspectives of technical, non-technical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 개방형 혁신과 지속적 경쟁 우위 : 기술적.비기술적 활동 및 조직 역량 관점 / Kibaek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151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M 17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Since the beginning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innovation has been an important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global knowledge environment, companies have changed from closed innovation model to open innovation model, interacting with their environment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hannels. The value of open innovation is that firms can overcome limita-tions in internal capabilities with external knowledge, which may generate innovative products in response to market changes. Implementing open innovation, collaboration among organization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st of searching and constructing a network is not so small, and there may be a failure due to a disagreement between objectives and a difference in capability among organizations. Although various studies about open innovation have been published, most of them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ourc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difference in innovation performance based on the depth and breadth of source utilization and the frame of moderating effect such as absorptive capacity. In addition, they can be characterized as highly field-oriented works focusing on case studies pub-lished in practical journals such as HBR.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innovation activity of a company leading to the enterprise's per-formance, the effective knowledge sources, support activities necessary for the open innovation success, and its necessary capabilities, to fill in the scarce part of open innovation literatures. The key points of each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essay, “An Approach of Two Dimensional Innovation Performance for Analyzing Processes In-between: Knowledge Sources Perspective”, is based on existing research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sources of knowledge and innovation performance. While previous research has been largely focused on what sources of knowledge are effective in innovation performance,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various sources of knowledge to the final financial performance and what causality exits in the process. It is also pro-posed and demonstrated an improved innov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decomposing into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uccess", to analyze these innovation pro-cesses. The proposed measures of innovation performance are used throughout the dissertation. The results con-firm that two constructs of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uccess" serve as mediators between the use of knowledge sources and firm performance, competitors (or peers) are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knowledge,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is uncl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knowledge sources in Korea’s innovation environment can be diagnosed and that carefu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rocess of product innovation leading to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uccess. The second essay, “Does External Knowledge Sourcing Enhance Market Performance?: Focusing on the Combination Effect of Technical and Non-technical Activities”, considers non-technical innovation activi-ties to enhance open innovation performance. While open innovation has been mainly dealt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e effects of non-technical activities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on the process of open innovation’s value creation. The results demonstrate a strong statistical relationship in the path of external knowledge sourcing to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to market performance. Organizational innovation is an antecedent to external knowledge sourcing while marketing inno-vation is a consequence of external knowledge sourcing,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s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market performance.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inkage with product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to be effective in achieving the target market performance. The third essay, "How Open Innovation Leads Competitive Advantage?: Dynamic Capability View Perspective ", examines the capabilities needed for an open innovation succ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capabilities are classified into "sensing capability", "seizing capability", and "transforming cap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dynamic capability view. The results 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path link-ing open innovation to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From the viewpoint of capabilities required for open innovation, transforming capability plays a role of significant prerequisite of sens-ing capability and seizing capability, having a direct or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sequenti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inkages between the needed capabilities of organization must be considered for performing open innovation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The dissertation examined the questions that help firms to adopt open innovation, i.e., whether open innov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corporate performance, which innovation process leads to performance, what support activities are needed to generate performance, what kind of relationships do they have with other activities, and what are the capabilities that an organization needs for open innovation success. The samples were drawn from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database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models. One of the big issues in the recent business environment is the servitization of products. Open innova-tion research related to the area, including service industries not covered in this study, is necessary in this field. This will be a good approach not onl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ories of open innovation, but also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y field.

혁신은 경쟁 우위의 주요한 원천이다. 글로벌 지식·경쟁 환경 변화에 적응하여, 기업은 내부 연구개발을 통해서 제품을 시장에 내놓는 폐쇄형 모델에서, 기업 내·외부의 채널을 통해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수행하는 개방형 혁신 모델로 변화하였다. 이는 제품 개발 및 시장 출시 비용의 증가, 제품의 수명주기 단축, 기술의 복잡성의 증가 등의 이유로 기업이 혼자서 감당하기에는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방형 혁신에는 조직 간의 협력 활동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게 되는데, 네트워크의 탐색 및 구축의 비용이 적지 않고, 기업 간의 목적 불일치, 역량의 차이 등으로 실패할 가능성도 역시 존재한다. 개방형 혁신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는, 탐색적 사례 분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실증 연구는 개방형 혁신의 효과성을 확인하거나, 협력 대상에 따른 성과의 차이, 흡수 역량과 같은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많은 연구에서 개방형 혁신의 성과와 그 성과를 높이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 있지만, 산업 현장에서 개방형 혁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에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혁신활동이 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지식 원천, 개방형 혁신의 성과 창출에 필요한 기업의 지원 활동, 그리고 그에 필요한 조직의 역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기존의 개방형 혁신 연구의 부족한 부분을 메우고 이를 도입하고자 하는 산업 현장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각 연구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혁신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2차원 혁신 성과 접근: 지식 원천 관점”은 다양한 지식 원천과 혁신 성과와의 관계를 다루는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기존 연구는 어떤 지식 원천이 혁신 성과 창출에 효과적인가에 대한 것이 주류를 이루는데,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식 원천의 활용이 최종 재무 성과에까지 이르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어떠한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혁신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개선된 혁신성과 측정 방법 (“제품혁신 성과”와 “기술사업화 성공”의 두 단계 구성개념)을 제안하고,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혁신성과 측정 방법은 본 학위 논문 전체에 걸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지식의 활용과 기업의 최종 재무 성과 사이에 “제품혁신 성과”와 “기술사업화 성공”의 두 개 구성개념이 매개자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고, 경쟁자(또는 동종기업)가 가장 중요한 지식원천인 것으로, 대학의 역할은 불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혁신환경에서 지식원천의 상대적 중요도를 진단할 수 있게 해주고, 지식 활용, 제품혁신 성과, 기술사업화 성공, 기업의 재무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에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뜻한다. 두 번째 연구, “외부 지식 소싱이 혁신 제품의 시장 성과를 높이는가?: 기술적·비기술적 활동의 조합 효과 중심 접근”에서는 개방형 혁신 성과를 높이기 위한 비기술적 혁신활동을 고려하였다. 개방형 혁신은 기술혁신의 범주에서 다루는 것이 주류를 이루는데, 본 연구에서는 비기술적 활동 (“조직 혁신” 및 “마케팅 혁신”)이 개방형 혁신이 성과를 창출하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분석 결과, “외부 지식 소싱”이, “제품혁신 성과”를 거쳐, “시장 성과”로 이어지는 경로의 강한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조직 혁신”은 성공적인 “외부 지식 소싱”의 선행 요인으로, “마케팅 혁신”은 “외부 지식 소싱”의 후행 요인으로서 각각 “제품혁신 성과” 및 “시장 성과”에 직접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개방형 혁신을 계획하거나 수행할 때에, 제품 혁신, 조직 혁신, 마케팅 혁신과의 연계를 고려해야, 목표로 하는 시장성과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뜻한다. 세 번째 연구, “개방형 혁신은 어떻게 조직의 경쟁우위를 가져오는가?: 동태적 역량 관점”은 개방형 혁신 성공에 필요한 조직의 역량을 살펴보기 위해, 이에 필요한 역량을 세분화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동태적 역량 관점에서 해석 및 세분화하여 “인지 역량”, “구현 역량”, “변형 역량”으로 구분하고, 구성개념의 측정 및 경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형 혁신”이 “제품혁신 성과”를 거쳐 기업의 “경쟁 우위”로 이어지는 경로의 강한 유의성을 확인하였고, 개방형 혁신 성공에 필요한 역량측면에서 살펴보면, “변형 역량”이 “인지 역량” 및 “구현 역량”의 선행요인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순차적으로 “제품 혁신 성과” 및 “경쟁 우위”에 직접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개방형 혁신 성공을 위해서는 필요한 역량간의 관계를 고려해야 함을 뜻한다. 본 학위 논문은 기업이 개방형 혁신을 도입하는데 있어 필요한 질문들, 즉 개방형 혁신이 기업의 성과 제고에 효과적인가, 개방형 혁신이 어떠한 혁신 프로세스를 거쳐 성과로 이어지는가, 성과 창출을 위해 필요한 지원활동은 무엇인가, 이는 다른 활동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 이에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해 한국의 제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근의 비즈니스 환경의 큰 이슈 중 하나는 제품의 서비스화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서비스 산업을 포함하여, 제품의 서비스화와 관련한 개방형 혁신 연구 역시 이 분야에 꼭 필요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개방형 혁신의 이론의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좋은 접근일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M 17003
형태사항 iv, 102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기백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ang Jung Z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항정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un Kee Choi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최문기
수록잡지명 : "Does External Knowledge Sourcing Enhance Market Performance? Evidence from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PLOS ONE, v. 11, no. 12, pp.1-19(2001)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p. 92-10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