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Impacts of cooperative R&D projects on technology convergence = 공동연구 프로젝트 특성이 기술융합에 미치는 영향
서명 / 저자 Impacts of cooperative R&D projects on technology convergence = 공동연구 프로젝트 특성이 기술융합에 미치는 영향 / Heon Gu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151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M 17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 discourse about converging technologies or technology convergence, especially in the early of 2000s, has become a global agenda from the perspective of that technology convergence could provide knowledge resources for national competence necessary for leading industrial paradigm shift. The US and the EU took the lead of technology convergence initiatives and many other countries such as Korean followed them. According to Milton Mueller(1998) [1], Nicholas Negroponte in 1978 almost for the first time mentioned about convergence when seeing the phenomenon that the industrial boundaries of print,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became blurred, and technological integration of print,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systems proceeded. However, Curran [2] insisted that Nathan Rosenberg in 1963 first coined ‘technological convergence’ in his article. Whoever fist coined the word, convergence broadly may be defined a phenomenon or process that borders of industries or technologies go blur and innovations become prolific on the borders, and then a brand-new technology or industry merges. Hacklin [3] said that convergence is a sequential process proceeding from knowledge to industry. Knowledge convergence emerges from co-evolutionary spill over between previously unlined and distant knowledge bases, thus induces the erosion of boundaries of industry-specific knowledge. Likewise, convergence of technologies can be observed where previously distinct technologies increasingly start to share common technological properties (Rosenberg, 1963). Technology convergence is a transitional process brining up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the practical field, the NSF [4] refers technology convergence as the synergistic combination of nano-bio-info-cogno (NBIC) science and technology, and relates it to a long-term basic research agenda in which nanotechnology plays a critical role for converging while The EU [5] announces that converging technologies are enabling technologies and knowledge systems, which is more concerned with innovation coming into market success. In Korean version,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mmission explains that technology convergence is an enabler that leads economic, societal, and cultural changes by incorporating creative values that come from synergic combination among various technologies. In the meantime, previous researches suggest that convergence intrinsically implies collaboration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within-organizations, but even cross-industry boundaries. Empirically, correlation between convergence developments and cooperation strategies is observed. Nevertheless, the association between convergence and collaboration is still obscure. While collaboration and networks among organizations are perceived intrinsic for any kind of conver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management of innov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remains not clear; for example, what this relationship implies in terms of strategic management and innovation. He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sociation between convergence and collaboration among entities need to be further explored. From this perspective, a significant part of contributions and values of our research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 R&D projects and technology convergence.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field of Korea including policy authorities, the word ‘Technology convergence’ is regarded as inevitable for the future technological competence, as much we can easily find the word every corner of R&D projects and programs especially supplemented by the government since policy makers want to strategically use technology convergence to beat the global competition. In practical perspective for researchers, the term is useful for getting government funding however it seems misused or abused sometimes. It is natural that a norm has been formed for years that converging technologies entails huge R&D inputs. This kind of R&D policies could be legitimate and backed up by some scholars such as Beck and et al. (2004) who content that R&D expenditures have high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developing product innovations. Nevertheless, many others insi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resources and innovative performance such as patents is an inverted-U one, but we have hardly found government reports about how R&D inputs impact technology con-vergence even though the Korean government has poured a huge amount of public money into developing con-verging technologies.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associating cooperation with technology convergence is still obscure when it comes to Korean R&D fields even though collaboration is an intrinsic element of any convergence related managerial activities, and convergence implies collaboration. From this perspective, we tried to contribute to the strategic management of innovative performance, specifically technology convergence. Penning (2001), Becker (2004), Hacklin (2008) and many other scholars have pointed that current theory falls short in characterizing the link between technology convergence and collaboration, thus need to be further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convergence, we’d like to suggest that converging technologies or technology convergence need to be further-clarified, theoretically-refined, and practically-classified. Technology convergence is so widely used and mentioned, thus we need to clarify the range and depth of it. Thus, technology convergence should be further researched from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cooperative R&D, it could be not a norm that firms are usually knowledge recipients while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re knowledge suppliers. In addition, as a knowledge provider, firms may differently behave according to their size, and intermediary organizations (usually facilitators) may be not beneficial for technological performance. Consuming a huge amount of resources might not be justified under the name of technology convergence. While prior researches regard that exploitative innovations are incremental and exploratory innovation are radical/disruptive, Hacklin refers technological convergence as an incremental innovation becoming disruptive. However, the stance of technology conver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needs to be further developed and empirically researched.

융합기술, 또는 기술융합에 대한 논의는 2000년대 들어, 새로운 R&D패러다임을 도출하여 국가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전세계적인 이슈가 되었으며, 각국 정부는 정부연구개발기관 등을 중심으로 국가차원의 기술융합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는 것이 널리 확산되었다. Milton Mueller(1998)에 따르면 1978년 Nicholas Negroponte는 컴퓨터, 인쇄, 방송기술들이 중첩되는 분야에서 빠른 혁신과 성장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융합(‘convergence’) 현상에 대해 처음 언급하였으며, 이후 merging technologies, compunications, telematique, fusion 등 다양한 용어로 표현되어왔다. 융합이란 기술 또는 산업간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무너진 경계에서 활발한 혁신이 일어나고, 전혀 다른 기술 또는 산업이 등장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표현하는 용어이다. 융합현상을 일련의 과정으로 인식한 Hacklin은, 지식 또는 과학의 융합이 기술의 융합으로 이어지고, 기술의 융합으로 인해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인 융합된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게 되며, 종국에는 산업간 융합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세스라고 정의한다. 혁신은 통상 안정상태와 불안정상태를 반복하는 순환적 궤적을 그리는 경향이 있으며, 혁신사이클 내에서는 이러한 상태변환기에 기술 불연속이 나타나게 된다. 혁신의 한 특성인 기술의 불연속이 나타나게 되면, 점증적 개선은 멈추고, 대체기술간 경쟁이 심화하게 된다. 심화된 경쟁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기술궤적을 따라 세분화하는 대신에, 전혀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이 등장하게 되며, 기술 불연속으로 인해 새로운 기술사이클 또는 산업이 등장하는 과정에서 전보다 훨씬 다양한 제품, 솔루션, 표준이 혼재하며, 경쟁기업의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혼돈의 시기가 시작된다. 이 시기에는 새로이 등장하는 기술간 경쟁뿐 아니라, 새로운 기술들과 기존 기술들간에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된다. 이러한 혼돈의 시기는 dominant design의 등장으로, 종지부를 찍게 되며, 점진적 개선의 시기로 사이클은 진입하게 되며, dominant design 제품 또는 솔루션의 판매가 급속히 증가하고, 시장을 장악하게 됨에 따라, 경쟁기업의 개체 수는 줄어들게 된다. dominant design이 된 기술 가운데, 기존기술역량을 쓸모 없이 만드는 와해적 기술의 경우, 산업의 패러다임을 궁극적으로 변화시킬 가능성이 높으며, 개발된 적이 없는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게 된다. 산업간, 기술간 경계가 모호해진 경우, 즉, 융합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한 산업 내 특정기술이 다른 산업의 서비스 및 BM에 적용되는 과정에서 와해적 역량을 갖는 융합기술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기술융합은 대체로 와해적 역량을 갖게 되는데, 이는 개별 산업에서 점진적 개선 과정을 거치던 기술들이 만나게 되면서 와해적 특성을 갖게 되는 것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한편, 기술융합을 포함, 융합 전반에 걸쳐 기관 내부의 개별 entity간, 혹은 기관 간, 공동협력(cooperation)을 내재된 요인으로 간주한다. 협력이란 특정목적을 위해 힘을 합쳐서 서로 돕는다는 사전적 의미에서 보여지듯, 시장 창출이나, 새로운 기술의 습득을 위해 개별기관이 갖고 있는 보완적 지식을 공유하는 것으로 융합은 협력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공동협력의 다양한 특성들이 혁신성과들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찾아볼 수 있는 반면, 공동협력의 특성과 혁신성과의 하나인 융합과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공동연구협력 특성이 기술융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우선 우리나라 산업발전에 그 파급효과가 큰 기술분야를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 공동협력과 혁신성과인 기술융합간 인과관계 연구에 기여하고, R&D정책을 수립하고 있는 정책입안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시도하였다. 각 연구의 핵심 내용을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ICT분야 공동연구 프로젝트 특성이 기술융합에 미치는 영향” 에서는 정부R&D과제정보 및 특허성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분야에서 다양한 공동연구 프로젝트 특성이 ICT분야 기술융합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정보통신분야 정부지원 R&D과제에 있어, 2000년대 초기 대비, 해가 갈수록 도출되는 기술의 종류는 다양화 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08년을 기점으로 한 특허가 갖는 IPC종류가 다양화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2008년즈음 수립된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09~13)이라는 국가적 융합기술 진흥 이니셔티브에 다소 기인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416개 정부과제의 과제정보와 특허성과정보를 분석한 결과, 연구협력 특성이 기술융합에 유의미한 정 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연구협력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세분화시키기 위해, 세계지식재산권기구가 발행한 IPC-Technology Concordance Table을 활용하여, 각 과제에서 산출된 특허를 기술로 변환하였으며, 특허 별 기술융합을 세분하기 위해, P.R. Kim (Characteristics of ICT-Based Converging Technologies," ETRI Journal) 이 제시한 특허-산업간 매칭 방법을 특허-기술간으로 원용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기술융합은 기술간 거리가 반영된 mono, homo, hetero 세 종류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는 타 기술분야 연구에도 동일하게 원용되었다. 기술융합 종류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공동연구협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을 활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대학 및 출연연 등 공공 파트너의 연구협력 참여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기업간 연구협력에 있어서는, 중소기업의 참여는 보다 도전적인 기술융합(hetero)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대기업의 참여는 기술 영역이 상대적으로 명확한(mono, homo) 기술융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기관의 수는 기술융합(mono, homo, total)과 역U자 곡선(inverse-U shaped)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정부지원금은 모든 기술융합에 있어, 역U자 관계를 나타내었다. 과제 수행기간 및 참여기관간 동질성은 hetero 수준의 기술융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로봇분야 공동연구 프로젝트 특성이 기술융합에 미치는 영향” 에서는 ICT분야와 유사하게, 2000년대 초기 대비, 해가 갈수록 로봇분야 특허를 토대로 보았을 때, 도출되는 기술의 다양성은 해가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2000년 초기 특정 대학 및 연구소를 중심으로 창출되던 기술도 대중소기업, 다양한 대학 및 연구소를 통해 창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난 10여년간(2001~2014) 점증하는 경향을 보인 기술의 종류 대비 공동연구협력 비중은 일정수준에 머물렀을 뿐, 지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로봇분야 710개 정부과제의 과제정보와 특허성과정보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연구협력은 로봇분야 기술융합을 비롯, 다양한 연구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봇분야 연구에서는 응용성이 높은 분야(homo 및 hetero) 기술융합에 영향을 미치는 공동연구 특성을 보다 잘 파악하기 위해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대기업, 중소기업 등 기업의 참여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 대학 및 정부출연 연구소 등 공공 파트너의 연구협력 참여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중소기업의 참여는 높은 수준의 응용성을 보이는 기술융합(hetero)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대기업의 참여는 보통이상의 응용성을 갖는 기술융합(homo, hetero)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기관의 수는 보통이상의 응용성을 보이는 기술융합(homo, hetero)과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정부지원금은 역U자 관계를, 민간부담금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공학 전공 연구원 비중 및 참여기관간 동질성은 hetero 수준의 기술융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M 17004
형태사항 132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헌구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ang Jung Z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항정
수록잡지명 : "The Impact of Cooperative R&D Projects on ICT-based Technology Convergence". ETRI Journal,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p. 123-13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