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Design and synthesis of 3D organic molecular architectures from self-assembly of helical foldamers conjugated to rigid linker = 견고한 링커로 연결된 나선형 폴대머의 자기조립 조절을 통한 삼차원 유기분자구조체 설계 및 합성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Design and synthesis of 3D organic molecular architectures from self-assembly of helical foldamers conjugated to rigid linker = 견고한 링커로 연결된 나선형 폴대머의 자기조립 조절을 통한 삼차원 유기분자구조체 설계 및 합성에 관한 연구 / Myo Bin Jeo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146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H 1700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design and synthesis of artificial materials that mimic sophisticated and complex natural system is an important challenge in synthetic chemistry and biology. In this thesis, we designed a novel strategy for $C_3$-symmetric and $C_2$-symmetric building blocks which have conjugate secondary structures (i.e. tertiary structure) by connecting two or more peptide foldamers to a specific linker motif and obtained more complex hierarchical self-assembled structures from newly designed building blocks. We synthesized helix-linker-helix conjugated building blocks by connecting amide bonds with helical beta-peptide which is known to form stable 12-helical structure and benzene or alkene linker which has fixed orientation. We obtained foldectures from foldamer-conjugate building blocks by aqueous self-assembly and observed nanospheres, nanodiscs, and rectangular plates shapes at each building units. It means that the macroscopic 3D shapes of the foldectures changes as the structural parameters of foldamer-conjugate building blocks. We expect that the study of self-assembly of helix-linker-helix building units can play a key role to elucidate the information of hierarchical self-assembly of protein molecules.

정교하고 복잡한 자연계 시스템을 모방하는 인공 물질을 설계, 구현하는 것은 합성 화학 및 생물학 분야에서 중요한 도전적 과제이다. 2개 이상의 펩타이드 폴대머를 특정 링커 모티프로 연결해줌으로써, 새로운 $C_3$ 대칭형 단위체와 $C_2$ 대칭형 단위체를 설계하고 이로부터 보다 복잡한 계층적 자기조립구조체를 구현하고자 했다. 안정적인 12-나선을 이룬다고 알려진 나선형 베타-펩타이드와 입체적 형태가 고정된 알켄 및 벤젠을 연결하여 나선-링커-나선 복합 단위체를 합성했다. 복합형 폴대머 단위체의 수용액상 자기조립 결과, 링커의 종류에 따라 구형, 원판, 직사각형 판 형태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복합형 폴대머 자기조립 단위체의 구조적 변수가 조절됨에 따라 폴덱쳐의 거시적 3차원 형태가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나선-링커-나선형의 단위체의 자기조립 연구는 4차 구조를 갖는 단백질 분자의 계층적 자기조립 정보를 밝혀내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H 17008
형태사항 iv, 46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전묘빈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ee Seung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희승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p. 41-4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