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Buckling of polymeric surface by electron irradiation = 전자빔을 이용한 폴리머표면의 버클링
서명 / 저자 Buckling of polymeric surface by electron irradiation = 전자빔을 이용한 폴리머표면의 버클링 / Hyung San L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137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NQE 1702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this paper, buckling of polymeric surfaces using low energy electron irradiation process was explored and its mechanism explained. Four polymers, which were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propylene (PP), Polystyrene (PS), and Polyethylene (PE), were irradiated to observe the possibility of surface buckling using only the irradiation process. It was discovered that only the scissioning polymers (PMMA and PP) could be successfully buckled at the surface. PMMA, the more readily scissioning polymer of the two tested, was irradiated at various irradiation conditions. When the current density or the heating rate was increased, it was found that the height of the buckling wrinkles fabricated increased due to the elastic property of the polymer, while the width of the wrinkles increased due to the viscous property of the polymer. It was also found that when the irradiation duration was increa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ated buckling wrinkles changed initially; however, beyond receiving a certain radiation dose, a greater irradiation duration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he characteristics due to the scissioning rate of PMMA becoming insignificant after receiving the pre-described dose.

이 논문에서는 저에너지 전자 조사 과정을 이용한 고분자 표면의 좌굴 현상을 탐구하고 그 메커니즘을 설명했다. 폴리 메틸 메타 크릴 레이트 (PMMA), 폴리 프로필렌 (PP), 폴리스티렌 (PS) 및 폴리에틸렌 (PE)의 네 가지 폴리머를 조사하여 조사 과정만을 사용하여 표면 좌굴의 가능성을 관찰했습니다. 파쇄 중합체 (PMMA 및 PP)만이 표면에서 성공적으로 버클 링 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PMMA는 여러 가지 조사 조건에서 조사 된 2 종의 폴리머를보다 쉽게 절단 할 수 있도록 조사되었다. 전류 밀도 또는 가열 속도를 증가 시키면, 중합체의 탄성 특성으로 인해 제조 된 좌굴 주름의 높이가 증가하는 반면, 중합체의 점성 특성으로 인해 주름의 폭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기간을 길게하면 제조 된 좌굴 주름의 특성이 초기에 변하게됨을 발견했다. 그러나, 특정 선량을받는 것 이외에도, 선량을받은 후에 PMMA의 파쇄 율이 중요하지 않게됨에 따라 더 큰 조사 기간은 특성을 현저하게 변화시키지 않았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NQE 17023
형태사항 iv, 25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임형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o, Sung Oh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성오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p. 21-2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