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로봇저널리즘의 윤리 기준에 대한 제언 = (A) suggestion for ethical standards of robot journalism
서명 / 저자 로봇저널리즘의 윤리 기준에 대한 제언 = (A) suggestion for ethical standards of robot journalism / 조병욱.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131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S 1701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Robot Journalis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s now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conomy, sports, and disaster reports. If data such as a stock market index, economic indicators, or game results are input in a certain format, Robot Journalism converts them into an article. As it can work 24 hours a day and there is no restriction by the amount of data, Robot Journalism is attracting attention from the media industry. But there are also many concerns that Robot Journalism without 'human conscience' will bring new ethical conflicts. Existing journalism, although not perfect, is regulated by laws and standards that are shared among current reporters. If a conflict arises, the Press Arbitration Committee which is a quasi-legal entity may arbitrate. In the field of Robot journalism, however, it is not clearly defined how the algorithms should be structured to prevent possible ethical conflicts.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study analyzed thousands of cases of last three years that requested for a correction through the Press Arbitration Committee. Also, it examined existing codes of ethics commonly used in the fiel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journalism, and extracted key words that emerged in common. Finally, it suggests new ethical standards that Robot Journalism can refer to.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Articles produced by Robot Journalism should pursue the universal human rights and the public interest, find a way to solve the Digital Divide problem and always be aware of a possibility its activities infringe the freedom of individuals. Also, the one who utilises Robot Journalism should consider a wide range of side effects it may cause.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함께 컴퓨터 프로그램인 알고리즘을 통해 사람 대신 로봇이 기사를 쓰는 로봇저널리즘 역시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2000년대 들어 주식시황 전달이나 스포츠 경기 결과, 재난 상황 등 수치 기반 보도가 많은 분야에서 로봇저널리즘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로봇저널리즘이 쓸 수 있는 기사의 영역이 점차 늘어나는 가운데 실제 보도 현장에서 발생할 윤리적 갈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회적 공감대와 학문적 논의들을 반영한 새로운 로봇저널리즘의 윤리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는 우선 기존 인공지능 활용의 영역에서 차용되는 윤리 기준과 현존하는 국내외 저널리즘 윤리강령들을 분석, 언론계의 최근 논제들과 맞물려 있는 핵심어를 추출해 범주화했다. 더불어 실제 보도 현장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갈등의 양태 분석을 위해 언론중재위원회의 최근 3년간 시정 권고 사례 1652건의 발생 및 조정 경과를 살펴보고, 다양한 매체에서 활동 중인 현직 언론인 9명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를 종합한 결과, 본 연구는 큰 틀에서 다음과 같은 5가지 맥락의 윤리 기준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보편적 인권의 추구, 저널리즘의 공익적 역할 준수, 정보 격차 해결을 위한 노력, 개인정보보호의 문제, 로봇저널리즘 활용의 부작용 방지 등이다. 한편 본 연구 과정에서는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헌법에 명시된 국민의 알권리와 윤리강령 사이에 발생하는 필연적인 충돌 부분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었다. 다만 이미 언론계에서 오랫동안 통용되어온 윤리강령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는 점, 기존 윤리강령들이 대체로 언론의 순기능에 부합한다고 인정받는 점 등을 감안하면 이 부분은 로봇저널리즘 윤리 기준이 사회적으로 공론화되는 과정에서 적합한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S 17013
형태사항 iii, 49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Byeong Uk J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병원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yeong Won Park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6-3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