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ypes of innovation and labor demand :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R&D on employment in the south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1996 - 2015) = 연구개발투자의 혁신 유형별 고용 효과 : 한국 제조업의 연구개발활동과 노동 수요의 관계 연구 (1996 - 2015)
서명 / 저자 Types of innovation and labor demand :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R&D on employment in the south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1996 - 2015) = 연구개발투자의 혁신 유형별 고용 효과 : 한국 제조업의 연구개발활동과 노동 수요의 관계 연구 (1996 - 2015) / In Keon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126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TP 17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thesis examines the effects of R&D investment on employment and labor demand by four types of innovation (new & existing innovation and product & process innovation) with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of South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1996~2015). Ranking the top in the world since 2013 on the share of GDP spent on R&D yet suffering from unemployment problems, South Korea provides a great example of how innovation activities affect demand for labor. The empirical analysis contained in this thesis shows that four types of R&D investments are inversely correlated with labor demands at the industry level. In addition, new product R&D investment also shows a negative effect, contrary to some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result can be ascribed to the decrease in manufacturing employment growth and firms participating innovation. At the firm based group level,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large firms which have invested more on new product innovation have increased their demand for labor with new product R&D, while both groups’ process innovation R&D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labor demand. One of the cri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he importance of disaggregating the employment effects of R&D. Since business enterprises’ R&D investments have different effects on employment by types of innovation, policymakers need to consider diverse employment effects of R&D. In particular, more effort is needed to promote existing product and process R&D for job creation, which has been ignored by current industries due to a gap between their perception of R&D capability and actual capacity.

본 연구는 한국 제조업의 기술 혁신과 고용의 관계를 다룬다. 한국은 2017년 현재 5년 연속 OECD국가 중 GDP 대비 연구개발투자율 1위를 기록하고 있지만 청년 실업률과 추정 실업자 수 또한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기술 혁신 중 신제품 개발은 고용 증가, 공정 개선은 고용 감소 효과가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배치되는데 한국 제조업 분야는 연구개발의 50% 이상을 신제품 개발에 투자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15년까지 제조업 20개 산업의 연구개발투자를 신제품, 기존제품, 신공정, 기존공정의 네 가지 혁신 유형으로 분류하여 일반화적률법(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분석을 수행했다. 산업 수준 분석에서 제품 혁신 투자는 고용과 양의 관계를, 공정 혁신 투자는 고용과 음의 관계를 보였으나, 노동 수요는 모든 종류의 혁신 투자와 음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제조업의 고용 증가율이 줄어들었으며 혁신 참여 기업이 감소한 것과 부합하는 결과이다. 기업 수준 분석에서는 기존 이론과 상이한 다양한 결과가 산출되었다. 고용의 경우, 대기업의 기존제품 혁신 투자는 신제품 혁신보다 더 큰 양의 관계를, 중소기업은 공정 혁신 투자에서 신제품 혁신보다 더 큰 양의 관계를 보였다. 모든 기업의 신제품 혁신 투자와 노동 수요는 양의 관계를 가졌으나 이외의 투자는 대체적으로 음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기업 및 산업이 스스로 파악하는 연구개발활동과 실제 고용 효과 및 혁신 역량 사이에 간극이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연구개발투자 및 혁신 정책 수립 시 기업 연구개발투자의 고용 효과를 혁신 유형에 따라 정밀하게 분석·이해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TP 17004
형태사항 iii, 61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인건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o Young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소영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56-6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