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ssessment of two uncertainty quantification methods for source term analysis = 방사선원 분석을 위한 두가지 불확실성 정량화 방법의 평가
서명 / 저자 Assessment of two uncertainty quantification methods for source term analysis = 방사선원 분석을 위한 두가지 불확실성 정량화 방법의 평가 / Nam-Il Tak.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453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NE 9402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wo methods of uncertainty quantification have been assessed for application to the source term analysis of Younggwang 3 & 4 using the MAAP code. The two methods of uncertainty analysis, i.e., the response surface method and the Latin hypercube sampling method, produced slightly different results for the empirical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CsI release fraction from containment. In source term analysis, the response surface method has the relative merits in the importance and the sensitivity analyses and by this method, important qualitative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inputs and the output can be obtained. However, the calculated uncertainties of the CsI release fraction were large and the information was insufficient to generate an appropriate response surface. It was difficult to substitute a typical second order response surface model for the original code. Thus, it is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the reliability of the response surface method. When the approximate model is not suitable, above advantages of the response surface method do not outweigh the lack of accuracy. The Latin hypercube method is preferred in this case. It is directly and easily implemented and does not require any trial to obtain an approximate model.

MAAP 코드를 영광 3, 4 호기의 방사선원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두가지 불확실성 정량화 방법을 평가하였다. 두가지 방법은 반응표면법과 라틴하이퍼큐브샘플링법으로서 격납용기로부터 방출된 CsI의 방출율에 대한 결과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방사선원 분석에서 반응표면법은 중요도 및 민감도 분석에서 상대적인 장점을 지닐 뿐만아니라 입력과 출력의 관계에 대한 중요한 정성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계산된 CsI 방출율의 불확실성은 매우 크고 적절한 반응표면을 만들기 위한 정보도 충분하지 못했다. 전형적인 2차반응표면모델로써 원래의 코드를 대신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반응표면법의 신뢰도를 확신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알았다. 근사모델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에는 반응표면법의 장점들이 정확도의 부족보다 중요하지는 않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차라리 라틴하이퍼큐브샘플링법이 낫다. 이 방법은 직접 쉽게 적용할 수 있고 근사모델을 얻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할 필요도 없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NE 94021
형태사항 vii, 44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탁남일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oon-Hyun Chu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전문헌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원자력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41-44
주제 Radioactive source strength.
방사선 원.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불확실성.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정량 분석.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Uncertainty.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