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제품의 감성적 인식 구조에 관한 연구 : 주방기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nsitive cognition structure" of products : focused on kitchen ware
서명 / 저자 제품의 감성적 인식 구조에 관한 연구 : 주방기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nsitive cognition structure" of products : focused on kitchen ware / 김윤희.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410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D 93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society has been developed to the point where the taste and the sensitivity of consumers are rapidly chang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sensitive congnition" of consumers in order to survive in the competitive world, market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sensitivity and sensitive engineering, 2) to set up the model of structure of "sensitive cognition", and 3) to understand the cognitive structure for the utilization in product development process. Kitchen wares were selected as a sample study. The survey was devided into two part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joint analysis. In the theorical study section, the nature and the application of the sensitive engineering, research method, and consumer's behavior and sensitivity were discussed. At the end of this section, the structure of the "sensitive cognition" and applied design model for sensitivity were proposed. In the frist survey, possesion status, the products that consumers want to buy, functional utilities, frequency of using, reading manuals, the moment of purchase, priority of purchase point and unconvenience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results, a rice cooker, a micro wave oven and a dish dryer were selected as sample study. The words for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of second survey were educed by free association. In the second survey, the priority of purchase point, the image of ideal product, and the questions for conjoint analysis investigated. In conclusion, 1) "sensitivity" is not an idea stimulate the human sense, but a synthetic concept for environment, psychology and consumption. 2) Design sensitivity of consumers can be represented by adjectives. As a example, Design sensitivity of a rice cooker is convenience, modernity, luxuriousness, sensivility etc. That of a micro wave oven is luxuriousness, convenience, amusement, activity. That of a dish dryer is convenience, luxuriousness, firendship, sensibility. In the consumer behavior, ① consumers tend to be blinded by multi-funcitonal products. But, after all, ② consumers prefer to convenient products. ③ Relatively simple products were prefered by consumer in design. ④ Higher educated consumers were less influenced by the opinion of neighborhood. 3) Design sensitivity of three products can be adapted to a model of sensitive cognition of structure. 4) To estabilsh sensitive cognition of structure, environmental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consumer behaviors should be considerably studied.

경제발전이 이루어지면서 소비자의 기호와 감성은 더욱 다양화하였고, 그러한 소비자의 감성을 알아내는 것이 기업 생존의 관건이 되는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소비자의 감성적 인식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발전하기 시작하는 감성과 감성공학에 대하여 고찰하고, 감성적인식 구조에 대한 모델을 구축한 후, 제품 개발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비자의 감성적 인식 구조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가정의 주 구매자인 주부가 많이 사용하는 주방기기로 하였고, 실제적인 인식 구조 파악 방법은 1, 2차에 걸친 설문을 실시하여 단순빈도, 백분율, 요인 분석, 상관관계 분석, 컨조인트 분석으로 통계처리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기존 이론과 관련 연구를 토대로 주방기기의 전반적 이용 현황을 위한 1차 조사, 2차 조사를 위한 어휘 수집, 최종 조사(2차 조사)의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감성의 본질과 감성의 적용, 감성공학의 정의와 접근 방법 등에 대해 숙지하고 소비자 행동과 감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런 다음 소비자의 감성적 인식 구조와 고도화된 감성 디자인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전기, 가스를 사용하는 주방기기 24개에 대하여, 보유현황, 구입예정 제품, 기능활용도를 질문하였다. 1차 설문은 6월 15일부터 7월 8일 까지 서울과 대전의 중류 이상의 주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500부를 배부하여 통계처리에 이용한 설문은 106부였다. 그 결과 보유율이 높거나 구입예정율이 높은 제품 중에서 기능활용도가 좋지 않은 제품 8개를 선정하여 집중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8개의 집중 연구 대상 제품(전기밥솥, 믹서, 전기후라이팬, 식기건조기, 전자렌지, 다용도조리기, 약탕기, 가스오븐)에 대해서는 사용 빈도, 사용설명서 숙지도, 기능활용도, 구매 동기, 구매시 우선점, 불편사항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기능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제품일수록 오히려 구매시에는 다기능 여부를 중요시 여기고 있었고, 비교적 기능이 단순한 제품일수록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상으로, 집중 연구 대상 제품 중 보유율, 구입예정율, 기능활용율을 고려하여 3개의 2차 조사(감성적 인식구조 조사) 대상 제품을 선정하였다. (전기밥솥, 전자렌지, 식기건조기) 2차 조사에 들어가기 전, 의미분별 척도법을 위한 어휘를 추출하였다. 어휘추출 방법은 자유연상법을 이용하여,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30명에게 50장의 주방기기 사진을 제시하여 연상되는 단어를 자유롭게 기입하도록 하였다. 그렇게 하여 추출된 단어 544개를 빈도수가 많은 순서대로 선택하고, 박영순, 김명석 논문과 비교하여 누락된 단어를 포함하여 33쌍의 형용사 어휘를 추출하였다. 그 어휘는 표 3-6과 같다. 2차 조사에서는 3개 제품 전기밥솥, 전자렌지, 식기건조기에 대한, 구매시 우선점 질문, 의미분별 척도법을 위한 이상적 제품의 이미지에 대한 질문,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질문을 하였다. 구매시 우선점에서는 3개 제품 모두 편리성, 내구성, 디자인, 용량 크기가 중요한 항목으로 지적되었고 회사이미지, 광고, 이웃의 조언 등의 간접적인 항목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이로써, 소비자가 의식적으로는 실용적인 요인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간접적인 요인으로는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다른 각도에서 연구해 보아야 할 것으로 보였다. 제품의 이상적 이미지의 프로필 차트에서는 3개 제품 모두 위생과 편리성에 관련된 형용사의 값이 크게 나타났다. 인자 분석한 결과, 전기밥솥은 편리성, 현대성, 고급성, 감각성, 품위성, 유희성, 친근성이 주요 인자로 도출되었고, 그리고 편리한 것이 고급스럽다는 결과를 볼 수 있어 소비자들이 편리성에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전자렌지는 고급성, 편리성, 유희성, 활동성, 친근성, 감각성이 주요 인자로 도출되었으며, 편리하고 안정한 제품이 고급스럽다고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식기건조기는 편리성, 고급성, 친근성, 감각성, 안정성, 도시성, 유희성이 주요 인자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편리한 것이 고급스럽다고 인식한다는 결과를 볼 수 있었으며, 도시적이고 활동적인 이미지를 친근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컨조인트 분석은 전기밥솥의 경우, 컨트롤 패널의 위치, 기능 보유 정도, 색상의 3가지 속성을 조합하여 질문하였고, 전자렌지는 컨트롤 패널의 위치, 조절방식, 기능 보유 정도, 오븐/그릴 겸용 여부의 4가지 속성으로 질문하였다. 식기건조기는 전체 형태, 수저 도마실 별도 채용 여부, 용량, 열풍 건조 가능 여부의 4가지 속성으로 질문하였다. 설문 결과는 응답자 전체와 보유자, 비보유자의 3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결과적으로 볼 때, 기능이 많은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비보유자에서 더욱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제로 사용해본 바로는 그 기능이 전부 필요하지는 않거나, 복잡해서 어차피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이상의 결과들을 이론적 연구 과정에서 제시한 감성적 인식 구조 모델에 적용하여 고찰하였고, 실제적인 제품 개발 단계에서는 어떻게 사용될 것인가를 예측 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D 93001
형태사항 viii, 127, [17]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부록 : 1차 설문지. - 2차 설문지
저자명의 영문표기 : Yoon-Hee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명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ung-Suk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122-126
주제 Cognition.
Factor analysis.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
Consumer behavior.
인식. --과학기술응용시소러스
인자 분석. --과학기술응용시소러스
소비자 행동.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