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Variation of factor-independent transcription termination efficiency depending on transcribed sequences = 전사염기열에 의한 전사종결효율의 변화
서명 / 저자 Variation of factor-independent transcription termination efficiency depending on transcribed sequences = 전사염기열에 의한 전사종결효율의 변화 / Ho-Jeong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180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BE 910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Bacteriophage T7 genome has one transcription terminator sequence for the phage-encoded RNA polymerase located downstream of the gene 10 and named Tφ. The factor-independent 41-bp terminator sequence along with its flanking sequence was cloned downstream of strong phage T7 promoters in various plasmids. Its transcription termination efficiency was measured as the molar ratio of terminated transcripts to total transcripts produced from in vitro transcription reactions containing only purified T7 RNA polymerase, DNA template and ribonucleotides under standard conditions. The measured efficiency varied 17% to 82% depending on the sequences within transcriptional unit, but it does not depend on parental plasmid sequences. The genomic sequence immediately downstream of the initiation site can yield a 21-nucleotide RNA hairpin structure and cause the high termination efficiency. However, replacement with another RNA hairpin-forming sequence at the same site reduced the efficiency substancially. Also the removal of genomic sequence dose not change the efficiency. Thus, RNA hairpin structure itself is not responsible for the high efficiency of pET-3. The transcription termination efficiency of Tφ is not determined by only initial transcribed region but by the entire sequence in a transcription unit.

파아지 T7 genome에는 T7 RNA 중합효소에 의해서 인지되는 1개의 전사종결제가 유전자 10 다음에 존재한다. 주변 염기서열과 함께 41-bp의 전사 종결제를 여러 plasmid에 존재하는 파아지 T7 전사촉진제 뒷 부분에 클로닝하였다. 생체외 전사반응을 통해 전사종결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종결제 아래 부분을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얻어진 run-off 전사체의 양과 종결제에 의해 종결된 전사체의 양을 비교 정량화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전사종결 효율은 주변 DNA 염기서열과 무관하며 전사촉진제와 전사종결제 사이의 염기서열에 따라 17%에서 82%까지 다양하게 측정되었다. 또한 높은 전사종결 효율을 갖는 pET-3의 전사개시 위치 바로 뒤에 존재하는 hairpin 구조를 제거 하였을 때와 같은 위치에 hairpin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다른 염기서열로 대체해 본 결과 RNA hairpin 구조 자체는 pET-3의 높은 전사 종결 효율의 직접적인 요인이 아니며 전사종결 효율은 전사개시 부분의 염기서열에 의해서만이 아니고 전사촉진제와 전사종결제 사이의 전체 염기서열에 의해서 결정됨을 알았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BE 9107
형태사항 v, 47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호정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ang-Won K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강창원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44-45
주제 Genetic transcription.
Molecular cloning.
Bacteriophages.
전사 (유전)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유전자 클로닝.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박테리오파지.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터미네이터 배열.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