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xpansive sound organization : examinations of added value effects on aesthetic experience based on empirical study of visual music and existent sound art practice explorations = 확장형 사운드 조직화 연구 : 비쥬얼 뮤직 실험연구와 사운드 아트 현역활동을 기반으로 한 추상적 멀티미디어 표현 작품의 미적 지각에 있어서 보조적인 고양 효과
서명 / 저자 Expansive sound organization : examinations of added value effects on aesthetic experience based on empirical study of visual music and existent sound art practice explorations = 확장형 사운드 조직화 연구 : 비쥬얼 뮤직 실험연구와 사운드 아트 현역활동을 기반으로 한 추상적 멀티미디어 표현 작품의 미적 지각에 있어서 보조적인 고양 효과에 대한 고찰 / Irene Eunyoung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093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CT 17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vestigating emotion and the perception of human expressions related to “art” and “music” requires complex interrelating approaches from various areas such as philosophy, aesthetics, psychology, musicology, cognition, history, sociology, and others. Researchers and artists often obtain essential knowledge grounded in previous experiments or artwork to generate a specific hypothesis model or concept for new expansive experimental approaches, in order to conduct an individual study or an art practice. In modern society, contemporary music’s definition of “organized sound”, a term coined by French composer Edgar $Var \grave{e} se$ (Goldman, 1961), opened up music to all sounds and spawned various evolutionary steps and novel emphases in the area. Understanding or appraising today’s musical artworks, such as “contemporary art music” or “sound art”, often requires aesthetics of art rather than pure music theory or musicology because their complex expressivity commonly stimulates multi-dimensional senses, not just auditory channel stimulation. This thesis mainly speculates the exploitation of added value and additional effects i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collective abstract expressions that carry integrated information with its prime audio channel in two main approaches: 1) utilizing an empirical method of Visual Music study to examine the added value effects; and 2) theorizing the justification for the study of a sound organization meta-discipline (i.e., Expansive Sound Organization) and representing a practicing existing project of creative sound art exercises. First, the theoretical section offers the foundation for the entire project, including discussions on the subjects of creativity in music (or art), sound art theory, the incongruity tendency of new artists, and the impact of industrial technology on sound organization practice. In addition, it introduces the groundwork of the construction of artistic intentions and messages for the purpose of sound art works. Second, the empirical study section examines the affective experiences of Visual Music, a syncretic form of art that integrates animated abstract film with music, and the added value effects resulting from combination conditions. Appraisal theories are known to be a good method of answering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emotion psychology (Ellsworth & Scherer, 2003; Roseman & Smith, 2001), and can be regarded as a good base supply for considering emotional responses to art (Silvia, 2005). Hence, this study examines a model of aesthetic experience to understand multimodal stimuli appraisal-processing mechanisms and investigates any enhancement or diminished affective effect results from Visual Music’s intersection of sound and image. Last, it exhibits an existing art practice as an example of adding values to organized sound works with an accentuation of self-referential quality. This kind of reflection could be helpful for the interpretation and examination of the meaning element in art appreciation (Leder, Belke, Oeberst, & Augustin, 2004), and the practice explores some dimensions of self-revelation in an artist’s life. With tangible examples from real sound art practices reflect-ing an artist’s life for over 10 years, it illustrates a complex manner of adding values to organized sound artworks. Providing credible rationales related to traditional disciplinary aesthetic evaluations and independent compositional materials can be viewed as a developmental approach to a new type of art study and practice. This whole research unavoidably brings up the highlighting of new art’s function as resistance to mainstream and conventional culture in social, political, and craftsmanship aspects of academic or industrial environments. It intends to discuss and suggest the approach of offering useful interdisciplinary knowledge to “expansive sound organization” interrelated with sound, music, video, texts, and performance that could suggest helpful insights for young creative artists and researchers for effective future study or practice designs.

현대 사회에서 “예술”그리고 “음악”이라는 주제와 관련된 인간의 표현과 감성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전방위적인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기반으로 통합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주로 철학, 미학, 심리학, 음악학 및 인지과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걸친 많은 양의 선행연구 및 조사들을 통한 지식들이 기반되어야 하고, 개별적인 연구를 진행하거나 예술 세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어떤 구체적인 방법론을 지니고 세분화 된 측면에서 미지의 영역에 대한 탐구에 대해 매우 구체적이면서 기존 개념에 도전하는 실험적 접근이 필요하기도 한다. 오늘날 음악은 프랑스 작곡가 Edgar Var?se가 제시한 Organized Sound(조직화된 사운드)의 개념(Goldman, 1961)으로 명시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 정의에서 무게를 둔 것은, 화성이나 멜로디, 리듬에 중점을 두었던 고전 클래식 음악의 프레임을 벗어나서 작곡자 또는 창작자의 의도에 따라 조직화된 소리들이 곧 음악이라는 주장이다. 즉, 잡음이나 악기등 음원 재료의 논란을 벗어나서 그 어떠한 소리들의 조직화도 창작자의 의도와 내용에 따라서 음악으로 간주된다고 하는, 기존보다 폭 넓게 확장된 개념적 정의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대중음악과는 다소 차별화된 비대중적 예술 음악작품 활동은 주로 사운드아트나 현대 순수음악이라는 분야로 구분되고 있다고 보아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분야에서 만들어지는 다양한 종류의 예술작품들을 감상하거나 논하는 데 있어 음악학에 뿌리를 둔 한정적인 접근으로 출발하는 것 보다는 보다 폭넓게 예술학·미학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오히려 그 확장된 예술적 표현력들을 논하는데 더 타당할 수 있는 사례들이 많이 있다. 그 이유는 현대 사운드아트 또는 현대 음악의 표현력은 단순히 오디오 채널을 자극시키는 시간예술적 표현을 넘어 비주얼채널이나 촉각등을 자극시키는 등 다양한 총체적 표현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이 지닌 핵심 질문은 바로 20세기 초반의 현대 소리예술 또는 음악 작품이 총체적인 표현의 합성이 되어 탄생되고있는 현실상황적 배경 속에서 제기되었다. 오늘날과 같이 기술이 발달한 시대에서 다양한 새로운 종류의 예술적 표현 방법들이 음악(소리)과 결합하여 다른 형태의 추상적인 표현이 합성이 되어 하나의 작품으로 구현될 때, 이러한 새로운 예술작품을 어떻게 감상하고 평가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한 객관적인 실험과 검증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작게나마 추상적인 표현물이 창작자와 청자 사이에 표현적 소통이나 감정 전달이 가능한지의 여부와, 실제로 멀티미디어 자극물을 감상할 때 미적 보조 또는 고양의 효과(Added Values)를 일으켜 음악 그 자체에 비하여 감상자에게 더 강렬한 인상이나 감성(Enhancement Effects)을 유발·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한지 그 진위의 여부를 검증하는 것, 그리고 이것이 가능하다면 과연 그 기저에서 작용하는 적합한 메카니즘 모델의 가설이 있는가하는 것이 바로 그 질문의 내용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사운드 채널 정보에 근본적인 중심을 두었으나 집합적인 표현력을 지닌 현대 예술음악 감상물에 대해 미학적 고양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1) 감성적인 Visual Music을 활용한 실험적 방법과 2) Sound Art Theater를 실현한 예술활동(practicing art) 방법 두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여 다음과 같이 고찰을 한다. 1) Visual Music 자극을 이용한 실험연구는 Emotion in Music, Visual (especially abstract), AV material을 이용한 이전 연구들의 조사내용을 토대로 정리하여 하나의 가능한 감성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이론적인 Production Framework를 만들고, 그에 따라 Emotion Communication이 가능한 콘텐츠를 제작한 뒤 정서적 지각(affective perception)을 평가·분석하여 이러한 감성 비주얼 뮤직(emotional visual music) 제작방법론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이것은 아직 많은 연구가 되지 않은 Abstract Visual Music과 미적·정서 연구분야의 미래에 더욱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들이 진행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하나의 견본 실험으로서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 실질적인 현대 예술활동의 내용을 이 논문에서 다루는 것은 오늘날의 디지털 사회에서 창의성 이론에 기반하여 부조화의 모순에 대한 저항적인 예술로서 실천적인 사례를 예술철학적 연구활동으로 보충하여 적시(摘示)함으로써 미래 음악에 대한 고찰과 담론들을 이끌어내도록 기여하는 의미를 지녔다. 즉, 완전한 하나의 예술철학을 주장하는 것이 아닌, 현대 예술의 감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데 있어 Cognition Processing과 연결되는 정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시사하는 바에 근거하여 작가적 관점의 기록들이 작품의 미적 지각에 고양효과 ? 즉 예술철학과 미학, 또는 예술가의 사상과 의식표현에 대한 이해가 주는-에 대한 화두를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작가들이 보다 폭 넓은 영역의 표현력을 활용하여 예술활동하는 철학적 근거의 타당성을 마련하고, 향후에는 보다 밀접하게 작가들의 기록과 작품에 대한 평가들이 연관되어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 의미를 지녔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17002
형태사항 x, 96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은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eseung Jeo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정재승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85-9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