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volution of industry convergence and corporate innovation strategy = 산업융합의 진화와 기업혁신전략
서명 / 저자 Evolution of industry convergence and corporate innovation strategy = 산업융합의 진화와 기업혁신전략 / Hyeokseong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092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M 17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dustries evolve through their life cycles due to the impacts of innovation and environmental changes, entailing an irreversible transformation of competitive dynamics, organizational variety, and industrial structure. This phenomenon has been expanded and accelerated by industry convergence that is defined as the process of blurring boundaries between previously distinct industries. In this turbulence, firms have inherently experienced great technological and market uncertainty and volatility in terms of rapid product innovation, obsolescence, and market saturation. Correspondingly, to be competitive in this industrial environment, firms have pursued technology or product convergence, which eventually leads to industry convergence. Although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phenomenon, their findings are limited to a partial understanding of industry convergence and product convergence. Therefore, this dissertation aims to explore the evolution of industry conver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organizational dynamics and the relevant corporate innovation strategy in a convergent product market.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how to identify and explore the diffusion patterns of industry convergence and what strategy firms should take in a convergent product market.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ive, I explores these issues by investigating industry convergence in US high-technology industries, using a large set of newspaper articles from 1987 to 2012. I perform a co-occurrence-based analysis to obtain information on industry convergence and estimate its diffusion patterns using an internal-influence logistic model. I find heterogeneous diffusion patterns, depending on convergent-industry pairs and their wide dispersion. In addition, I find that the potential degree of industry convergence i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its growth rate, which indicates that a great deal of time will be required for industry convergence between high-technology industries with this high potential to achieve a high degree of convergence. In the second study, I examine how a firm’s product convergence strategy affects market performance for convergent products using U.S. mobile phone market data. I first identify the types of product convergence based on whether products that were once distinctive converged symmetrically as well as partially or fully. By focusing on asymmetric product convergence, I find that architectural product convergence achieves higher market performance than radical product convergence. Moreover, when firms diversified to create a market of products were formerly unrelated, that is, inclusive product convergence, they achieve higher market performance than when the firms did not diversify, that is, additive product convergence.

산업은 주변 환경의 변화 및 혁신의 영향으로 수명주기를 따라 진화하며, 이러한 진화는 경쟁구도, 조직적 다양성, 산업구조의 비각역적 변화를 수반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산업융합으로 인해 더욱 확장되고 가속화된다.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산업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매우 높은 수준의 기술?시장 불확실성을 경험하게 되며, 제품혁신, 소멸, 시장포화와 같은 현상을 끊임없이 마주한다. 그러므로 기업들은 기술융합, 제품융합을 통해 불확실성이 높은 시장에서 살아남고자 하며, 이러한 개별 기업들의 융합혁신은 산업의 융합으로 이어지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융합이라는 현상을 파편적으로 밖에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학위논문은 조직 간 동태성의 관점에서 산업융합의 진화를 이해하고, 융합제품 시장에서 기업은 어떠한 혁신전략을 취해야 하는지를 논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학위논문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질문에 집중한다. 첫째, 산업융합의 확산 패턴을 어떻게 규명하고 찾아낼 것인가? 둘째, 융합제품 시장에서 기업은 어떠한 전략을 취해야 할 것인가? 첫 번째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학위논문은 1987년부터 2012년까지의 신문기사를 수집하여 미국의 하이테크 산업에서 벌어지는 융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사 안에서 공동으로 등장한 기업들의 목록을 기업 쌍의 형태로 추출하여 이를 표준산업분류 코드 쌍으로 변환한 후, 산업융합수준을 측정하는 지수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이용하여 확산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각 융합산업 쌍마다 의 확산 특징을 추정해내었으며, 하이테크 산업 전반적으로는 이질적인 확산패턴이 존재함을 밝혀내었다. 또한 최대 산업융합 수준과 산업융합 발전 속도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밝혀내었다. 뒤를 이어 두 번째 연구에서는 미국의 핸드폰 시장에서 각 기업의 핸드폰 기기 별 월 판매량 정보를 활용해 융합제품(카메라폰) 시장에서 어떤 유형의 제품융합 접근법이 더 높은 성과를 일으켰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본 학위논문은 제품융합의 유형을 대칭적, 비대칭적 융합으로 구분한 후, 비대칭적 융합에 초점을 맞추어 기업들의 주 사업 유형과 주 사업 이외의 사업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이들이 어떠한 제품융합 접근법을 채택하였는지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접근법 유형 별로 각 기업이 출시한 카메라폰의 시장 성과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융합제품의 기본이 되는 제품을 주 사업으로 영위했던 기업은 아키텍처 제품융합을 수행함으로써 그렇지 않은 기업의 급진적 제품융합 성과보다 더 높은 시장성과를 보였다. 그리고 비관련 다각화를 통한 포괄적 제품융합을 수행한 기업이 관련 다각화를 통한 보조적 제품융합을 수행한 기업보다 더 높은 성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M 17001
형태사항 iv, 7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혁성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njoon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원준
수록잡지명 : "Diffusion Patterns in Convergence among High-Technology Industries: A Co-Occurrence-Based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 Data". Sustainability, v.8.no.10, pp.1029-1046(2016)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60-6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