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ynthesis of regioregularity controlled P3HT-b-PLA block copolymers and their self-assembly in thin films = Regioregularity가 조절된 P3HT-b-PLA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및 자가 조립 거동 연구
서명 / 저자 Synthesis of regioregularity controlled P3HT-b-PLA block copolymers and their self-assembly in thin films = Regioregularity가 조절된 P3HT-b-PLA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및 자가 조립 거동 연구 / Hyun-Jeong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084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BE 1701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Conjugated polymer based rod-coil copolymers have been considered interesting class of materials due to their great potential for the construction of ideal nanostructures in organic opto-electronics. Herein, we syntehsized regioregularity controlled poly(3-hexylthiophene) varied from 95% to 65% as a model rod backbone. And we developed a seires of rod-coil block copolymers, poly(3-hexylthiophene)-b-poly(L-lactic acid) (P3HT-b-PLLA). Previous attempts to generate ordered morphology in P3HT-based block copolymers have failed due to high crystallinity of P3HT. The regioregularity control allows for regulation of rod-rod interaction, so it influence on the microphase self-assembly. Here we demonstrated the horizontally oriented PLLA cylinder embedded in a semiconducting P3HT. And also we observed the aligned P3HT cylinder in PLLA matrix.

전도성 고분자기반 라드-코일 블록공중합체 연구는 이상적인 나노구조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유기전자소자에 응용되는 매우 흥미롭다. 본 논문에서는, 결정성이 95%에서 65%까지 체계적으로 조절된 Poly(3-hexylthiophene)을 라드 고분자를 기반으로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다양한 regioregularity을 갖는 P3HT와 다양한 분자량을 갖는 PLLA의 결합을 통해 여러 시리즈의 블록공중합체를 개발했다. 이전의 P3HT 기반 블록공중합체의 자가조립연구는 P3HT의 강한 결정성으로 인해서 피브릴 구조가 관찰되어 정렬된 모폴로지를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결정성을 조절하여 박막에서의 P3HT-b-PLLA 블록공중합체의 자가조립 연구를 통하여 추후 유기전자소자에 기여할 고분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BE 17013
형태사항 ii, 27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현정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umjoon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범준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명화학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24-2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