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기타 식별력 없는 상표의 판단기준 및 법적 안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judgement criteria for indistinguishable trademark and the legal stability thereof
서명 / 저자 기타 식별력 없는 상표의 판단기준 및 법적 안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judgement criteria for indistinguishable trademark and the legal stability thereof / 설기석.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078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P 17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Article 33 of the Trademark Act, the distinctiveness of the trademark is defined as a positive requirement of the trademark registration. Article 33 (1) of the Trademark Act presupposes that all trademarks can be registered in principle, only if the trademark does not fall under subparagraphs 1 through 7 of the same paragraph. Among them, subparagraph 7 specifies 'In addition to trademarks under subparagraphs 1 through 6, a trademark which is unrecognizable for consumers to identify which goods related to whose business it indicates.' Subparagraph 7 was enacted for the purpose of supplementing the reason not covered by subparagraphs 1 through 6 becaus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specifying all the reasons in law. Marks that fall under the grounds of Article 33 (1) 7 of the Trademark Act shall normally be referred to as "other indistinguishable trademarks". However, It is not easy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distinctive marks because Article 33 (1) 7 is overly abstract as well as the specific criteria are not clear of "other indistinguishable trademarks". In practice, the decision of whether or not the trademark does fall under the "other indistinguishable trademarks" varies depending on subjective opinions of the examiners in the same or similar matters. As a result, the applicants often tend to objects to the state body until the refusal of trademark registration is reversed, and this causes a great loss to our society in terms of time, cost and reli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riteria of 'other indistinguishable trademarks' will be analyzed and typified based on current law, theory, comparative laws, examination practices, decisions, judgments to establish reasonable standards and to conduct objective examination accordingly.

우리 상표법은 제33조에서 상표의 '식별력'을 상표등록의 적극적 요건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동조 제1항은 모든 상표는 원칙적으로 등록이 가능함을 전제로 하고, 예외적으로 식별력이 인정될 수 없는 사유를 제1호부터 제7호까지 한정적으로 열거하며 이에 해당하는 상표는 등록 받을 수 없다고 규정하는데, 식별력 없는 상표의 모든 유형을 법문에 열거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제7호에서 '제1호 내지 제6호 외에 수요자가 누구의 업무에 관련된 상품을 표시하는 것인가를 식별할 수 없는 상표'는 등록 받을 수 없음을 규정한다. 상표법 제33조 제1항 제7호에 해당하는 상표를 통상 '기타 식별력 없는 상표'라고 한다. 그러나 '기타 식별력 없는 상표'를 규정한 법문이 지나치게 추상적으로 규정되어 있고,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보니, 실무에서는 동일·유사한 사안에서 심사관 등의 주관적 견해에 따라 그 판단이 달라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결국 상표 출원인의 입장에서는 '기타 식별력 없는 상표'에 해당한다는 사유로 상표등록이 거절되면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거절결정이 번복될 때까지 국가기관에 연달아 불복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시간적, 비용적, 신뢰적 측면에서 우리 사회에 매우 큰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타 식별력 없는 상표'에 해당되는 각 유형을 현행법, 비교법, 심사실무, 심사례, 판례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상표 출원인의 입장에서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판단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P 17005
형태사항 vi, 96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Ki Suk Seol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성정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ung Hyun Seong
부록: 기타 식별력 없는 상표의 판단에 관한 심결례 및 판례정리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지식재산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91-9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