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타이어바닥부 가진시험 기반 전차량 10-자유도 집중매개변수 모형화 = 10-degree of freedom modeling of full car based on analysis of responses to base excitations
서명 / 저자 타이어바닥부 가진시험 기반 전차량 10-자유도 집중매개변수 모형화 = 10-degree of freedom modeling of full car based on analysis of responses to base excitations / 김미르.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040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E 1701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With never-ending demands for a better ride comfort of vehicles, prediction of vibrations of a vehicle under driving conditions is consistently important. Ride comfort of a vehicle is often affected by low frequency motions of sub-systems such as engine/transmission, body, knuckles, and vibration isolation elements between the sub systems. To evaluate the ride comfort under driving conditions, various kinds of tests, e.g. proving ground test or four post excitation test can be used. Among these, the four post excitation test, where load profiles can be reproduced on the four posts is very useful not only to assess the ride comfort indoor but also to obtain overall vibration properties of a full car. Accordingly, demands for dynamic model of a whole vehicle based on the base excitation test are to be realized. In this paper, a 10-degree of freedom lumped parameter model for a full car is constructed based on analysis of responses only under base excitations. The operational modal analysis process of doing analysis of measurements from the base excitation test and obtaining key unknown parameters of the vehicle model are presented. Performance of the lumped parameter model obtained by this process will be shown by comparing predictions by the model with measurements under excitations other than those in modeling, e.g. transient excitation due to a bump.

차량 승차감 향상에 대한 끊임없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차량 개발단계에서 주행조건 하의 차량 진동을 예측하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 차량 승차감은 엔진/트랜스미션, 차체, 차축, 그리고 각 부품들의 저주파수 영역에서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주행 조건 하의 승차감을 평가하기 위해 주행 시험, 4-포스트 가진시험 등이 활용 가능하다. 이 중 4-포스트 가진시험은 4개의 타이어에 노면 입력을 재현해 주는 시험으로써, 실내에서 승차감을 평가하거나 차량의 진동 특성을 얻어내는데 매우 유용하다. 이에 따라 타이어바닥부 가진에 의한 전차량 동적 모형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타이어바닥부 가진 시의 응답분석 기반 전차량 10-자유도 집중매개변수 모형화를다룬다. 바닥 가진시험 결과 분석과 차량모형화를 위한 주요 모형 매개변수 도출 과정이 다루어진다. 모형 검증을 위해 타이어바닥부 과도 변위가진 상황에서의 모형 응답과 시험 응답의 비교를 이용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E 17014
형태사항 v, 75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Mi-Reu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광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wang-joon Kim
부록 : A, 10-자유도 모형 통한 상용 프로그램(Simscape) 활용 검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68-7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