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감염병 보도에서 국내 언론이 사용하는 어휘의 특성 분석 : 지카 바이러스, 야생진드기, 다제내성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ord choice for reporting the infectious disease : targeting the words such as zika virus, the haemaphysalis longicornis, and the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
서명 / 저자 감염병 보도에서 국내 언론이 사용하는 어휘의 특성 분석 : 지카 바이러스, 야생진드기, 다제내성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ord choice for reporting the infectious disease : targeting the words such as zika virus, the haemaphysalis longicornis, and the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 / 전지영.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038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J 1700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purpose of risk communication is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nd to relieve psychological anxiet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well the media works properly as a principal agent of risk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word choice for reporting the infectious disease. Targeting the words such as Zika virus, the Haemaphysalis longicornis, and the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 the corpus linguistic analysis was conducted. Also, the interviews with the Ministry of Health-Welfare Correspondents including the journalists specialized in medical science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egative sensitive terms were often used on the headlines, and provocative statements were appeared more than on the main body of the article. The words on the media report were still negative or provocative, although the infectious disease reporting guidelines and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rged the press to refrain from using such words. According to the interview, the competition between the press was a major influencing factor resulting in incendiary remarks on the news. And the system of press which encouraged sensational reports was discussed as one of the barrier factors hindering good risk communication.

위험커뮤니케이션은 정확한 정보 제공의 과정이자 심리적 불안감 해소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감염병 보도에 사용되는 어휘에 초점을 맞추어 언론이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중요 주체로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지카 바이러스, 야생진드기, 다제내성균을 주제로 어휘 분석을 위해 코퍼스 언어학적 방법을 사용했고, 의학전문기자를 포함한 보건복지부 출입기자들과 인터뷰를 통해 질적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 결과, 기사 제목에는 부정적인 감성어휘가 많이 사용되었고 본문에 비해 자극적인 어휘 사용이 두드러졌다. 감염병 보도준칙에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명시된 어휘들이 보도에 지속적으로 사용됐으며, 질병관리본부에서 언론보도에 사용 자제를 권고한 용어들도 여전히 기사에 남아있었다. 기자들과의 인터뷰 결과, 언론사간 보도 경쟁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으며 기사를 하나의 콘텐츠로 이슈화시키기 위해 자극적인 어휘를 사용하게 되는 언론 구조를 위험커뮤니케이션 저해요인으로 지적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J 17008
형태사항 iii, 43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i Young Jeo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마이클박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ichael S. Pak
부록: 보건복지부 출입기자를 대상으로 한 감염병 보도관련 인터뷰 설문지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33-3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