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characterization of carleson measures for the bergman spaces on the ball = 단위구상의 bergman 공간들에 대한 carleson 측도
서명 / 저자 (A) characterization of carleson measures for the bergman spaces on the ball = 단위구상의 bergman 공간들에 대한 carleson 측도 / Kyung-Sub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0].
Online Access 제한공개(로그인 후 원문보기 가능)원문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086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AM 900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 characterization of Carleson measures for the Bergman spaces on the ball Let E(w,r) denote the pseudo-hyperbolic disc of the unit disc D of the complex plane C. It is known that if 0 < r <1, 1 ≤ p < ∞ and μ is a positive finite Borel measure on D, then the following two quantities are equivalent: \begin{eqnarray*} (i) sup$\{\int_D|f|^pd\mu/||f||^p_{A^p}:f\in A^p(D), f\not\equiv0\}$ (ii) sup$\{\mu(E(w,r))/m(E(w,r)):w\in D\}$ Where $A^p$(D) denotes the Bergman space on D and m denotes the area measure on D. In this thesis, we extend this result to the unit ball of $C^n$.

E(w,r)를 복소평면의 단위구상에서의 의쌍곡적인 원이라 하자. 0 < r <1, ≤ p < ∞이고 μ가 단위구상에서 유한의 양의 Borel 측도라하면 다음 두 양은 서로 동치임이 알려져 있다. (i) sup$\{\int_D|f|^pd\mu/||f||^p_{A^p}:f\in A^p(D), f\not\equiv0\}$ (ii) sup$\{\mu(E(w,r))/m(E(w,r)):w\in D\}$ 여기서 $A^P(D)$는 단위원상의 Bergman 공간이고 m은 단위원상의 면적측도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 결과를 n차원 복소 공간의 단위구상으로 확장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AM 9006
형태사항 [ii], 16, [2] p.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경섭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oo-Rim Cho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최부림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응용수학과,
서지주기 Includes reference
주제 Measure theory.
측도.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복소 함수론.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Unit ball.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