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Photolysis of methyl formate at 123.6nm = 123.6nm 에서 메틸포메이트의 광분해 반응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Photolysis of methyl formate at 123.6nm = 123.6nm 에서 메틸포메이트의 광분해 반응에 관한 연구 / Kyung-Joong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044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AC 9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Possible primary reaction channels for the dissociation of methyl formate were studied. The primary processes were found to be composed of a channel of molecular elimination and three channels of radical formation processes. In this study, the photolysis of methyl formate was performed at 123.6nm by using a Krypton resonance lamp over the pressure range of 1-40 Torr and at room temperature. Radical scavenger effect was also investigated by adding NO. The radical capture effect was observed by adding HBr as a radical capture. The major products were found to be CO, $CO_2$, $CH_4$, $C_2H_6$, $H_2CO$, and $CH_3OH$. From product analysis, the contributions of each primary processes were deduced by extrapolating the product quantum yields to low pressure limit where the chain processes could be neglected. The chain effect was observed by the pressure increase of parent molecule. The chain initiation mechanism was proposed and thought to be due to high translation energy hydrogen atom produced from dissociation of highly excited molecule or radical. Our finding of the reaction scheme was also found to be well agreement with the general trend that the molecular elimination process has enhanced with the photon energy and the radical formation process behaved opposite direction.

메틸포메이트의 광분해 반응을 크립톤 공명 램프를 이용하여 진공 자외선 영역인 123.6nm 파장에서 연구하였다. 주요 생성물은 CO, $CH_4$, $C_2H_6$, $H_2O$ 그리고 $CH_3OH$ 이었으며 그들의 양자수율은 반응물의 압력을 1 - 40 Torr로 증가시키면서 측정하였다. 일차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NO를 라디칼 스케빈져 (scavanger)로 사용하였고, 에탄의 생성과정을 보다 자세히 이해하기 위하여 HBr을 라디칼 캡춰(capture)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메틸포메이트의 광분해 반응에서 일차과정은 한 가지의 분자 제거 과정과 세가지의 라디칼 생성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요 생성물의 양자수율을 연쇄 반응의 효과가 무시되는 낮은 압력 극한으로 외삽시킴으로서 분자 제거과정과 라디칼 생성과정의 상대적인 기여도가 약 34%와 66%에 해당됨을 알 수 있었다. 압력이 0으로 접근할 때 총양자수율은 1에 접근하였고 반응물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총양자수율이 증가하는 사실로부터 연쇄반응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AC 9004
형태사항 vi, 45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경중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yung-Hoon Ju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정경훈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42-43
주제 Free radicals (Chemistry)
Channeling (Physics)
Elimiration reactions.
광 분해 (Photolysis/disintegration)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제거 반응.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래디컬.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Photodissociation.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