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effects of contexts on information design = 정보디자인에서 맥락의 영향
서명 / 저자 (The) effects of contexts on information design = 정보디자인에서 맥락의 영향 / Sicheon You.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029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D 1500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uild structured knowledge on the use of contexts in information design by investigating their effects on the attributes of high-quality information. Context affects all of people’s activities and experiences of activities. It is a crucial factor in understanding human cognitive behavior as well as an inherent property of human cognition to access information differentially in different contexts. An information need cannot be divorced from its context because the context not only reflects the figures of the real world in which th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ut also makes the information available to the real world in which human-information interaction occurs. Although the issues of context and its importance have been addressed repeatedly by many scholars in recent years, the possibility of acceptable information design that considers context has rarely been questioned. Information design should strive to be a broad-spectrum solution that supports representation of both the information contents associated with an event and the operational information contexts and that is able to assist the information contents to be clear. It is therefore necessary for information designers to understand how those contexts should be applied to the information design domain in terms of design by context. To design high-quality information using contexts in information design, this study first provided the ten attributes of high-quality information―understandability, accessibility, appropriateness, objectivity, attractiveness, relevancy, completeness, conciseness, lack of errors, and valuableness―and second addressed the foundational discussions on the attributes of high-quality information and contexts, which are concerned with three major categories: information end users, information artifacts, and information environmental problem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sues above, this study suggested the context framework assumption available for the information design domain; (1) the framework is composed of a two-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with layered structure range on the X-axis and functional depth on the Y-axis; (2) the layered structure range covers internal context, external context, and extreme external context; (3) the functional depth likewise is composed of “context as ignition” and “context as setting”; (4) contexts as ignition cover the intrinsic motivation (IM), structure of information sets (SI), and cultural semiosis (CS); and (5) contexts as setting cover the individual-level schemas (IS), atmospheric cues (AC), and social-default schemas (SS).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ext properties and the attributes of high-quality information, case studies were performed with experimental stimuli. A total of thirty stimulus candidates were designed and, among them, eighteen cases of information design were finally chosen through a screening process. Each of the eighteen cases of information design reflected one of the six types of context properties (IM, SI, CS, IS, AC, or SS). The results of 204 usable questionnaires, which were from Korean, Chinese, American, Australian, and German participant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he survey and its statistical analyses, this study verifi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text properties and most of the high-quality information attributes. Also, the context properties have predictive power regarding high-quality information attributes. Specifically, the IM context property had a strongly positive influence on all ten of the high-quality information attributes;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was on “attractiveness.” The SI context property had a strongly positive influence on most of the ten high-quality information attributes, except for “accessibility”;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was on “conciseness.” The CS context property had a strongly positive influence on all ten of the high-quality information attributes;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was on “relevancy.” The IS context property had a strongly positive influence on all ten of the high-quality information attributes;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was on “appropriateness.” The AC context property had a strongly positive influence on all ten of the high-quality information attributes;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was on “appropriateness.” The SS context property had a strongly positive influence on five types of high-quality information attributes: understandability, accessibility, appropriateness, attractiveness, and relevancy.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was on “relevancy.” Among the six types of context properties, the IS context property had the highest impact on the attributes of high-quality information than the others. The priority of the influence of each type of context property from high-quality information attributes was as follows; (1) IS context property, (2) AC context property, (3) CS context property, (4) IM context property, (5) SS context property, and (6) SI context property. In an overall perspective, the “context as setting” had a stronger impact respectively on the ten high-quality information attributes than the “context as ignition.” In addition, among the ten attributes of high-quality information, appropriateness, relevancy, understandability, and objectivity were relatively more influenced by the context properties.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d a discussion abou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ontext properties and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jor fields of study, ethnic origin, nationality, cognitive style, thinking style, and degree of understanding texts on the suggested stimulus). As a result, the cognitive style and the nationality had th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text properties. Participants who exhibit field dependent cognitive style tend to rely 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exts. The degree of influence by context was different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Koreans were a lot more impacted by the context properties compared to Americans). The other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did not have any effect on comprehending the context properties or the levels of relationshi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in this study. Within the overall comprehension, this study showed the clear evidences about three major issues; what types of context properties were important for information design domain, how these context properties made information design outputs highly qualitative, and how information users’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the context properties. Based on the specific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case studies and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effects of contexts on information design consist of the following five issues: (1) context shapes information contents, and contexts and contents cannot be separated; (2) contexts influence the attributes of information quality, which are crucial issues in the information design domain; (3) contexts are important resources for structuring information in human-constructed artifacts; (4) contexts make us understand information users’ individual experiences and preferences; and (5) contexts are the tools to support methodologies for analyzing communication problems and developing the components of the planned communication effort solution, and the context framework assumption can be used for the effective design principle. This is the evidence that the success of information design outputs is very context-dependent. We can conclude therefore that without concerning the issue of contexts, good information design cannot be guaranteed, and contexts and their properties are a new range of information design challenges. This study provided a new possibility to apply contexts for information design activities in terms of design by contex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at the sample cases were limited within the scope that mainly considers informational graphics, instructional graphics, and how-to guides. Across a broad range of media in a complex world, more diverse cases of information design need to be considered in further research. There are two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One is that information designers can utilize contexts as a new resource along with contents for designing good information output. The second is that from now on, information designers can handle contexts in a tangible manner no matter whether they are about information users, information artifacts, or environmental problems.

맥락(Context)은 인간의 모든 활동과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의 인지활동과 그 결과에 대한 올바른 해석을 위해서 의미 생산과 수용 과정에서 의미모태로 작용하는 맥락에 관한 연구는 1920년대 언어학 분야를 시작으로 심리학, 커뮤니케이션, 사회학을 거쳐 현재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유비쿼터스 컴퓨팅, 인공지능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진행되어오고 있다. 인간과 정보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분야에서 정보는 맥락과 분리될 수 없다. 맥락은 인간의 정보 인지활동과 그 내부의 존재하는 본질적인 속성을 인간 중심적 관점에서 이해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자원으로서, 정보가 표출되는 실질세계의 모습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인간-정보의 상호작용 내에서 정보가 실제로 활용될 수 있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맥락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것은 그것이 본질적으로 인간과 사물, 인간과 환경의 관계 속에서 인간의 내부에 체화되어 있지만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암묵지(Tacit knowledge) 형태로 작동하고 나아가 너무나도 다양한 상황에서 개별적이면서도 동시에 포괄적인 개념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보디자인은 인간과 정보, 정보와 사물, 사물과 인간의 사회문화적 환경이라는 세가지 관점의 큰 틀 안에서 인간과 정보의 상호작용 과정에 발생하는 문제를 디자인적 의미와 상징을 통해서 사용자 중심적으로 해결하는 학문 분야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맥락은 정보디자인 활동 과정에 편재되어 정보 사용자가 안고 있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활용될 필요가 있지만, 아직까지 정보디자인 분야에서 맥락과 그것의 실질적인 역할에 대하여 분석적으로 체계화시킨 연구는 찾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맥락이 정보디자인 분야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고 그것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탐구하였다. 궁극적인 연구목적은 ‘맥락’이 정보디자인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중의 하나인 ‘고품질 정보속성(High-quality information attributes)’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보디자인 분야에서 맥락을 실질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화된 지식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가 질 좋은 정보가 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하는 속성들을 찾아내고 그것들이 맥락 및 맥락 성분들(Context properties)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서 인간의 정보 활동 및 경험에 관여하는 고품질 정보 속성들과 맥락의 차원 및 성분들을 파악하였다. 정보디자인 분야가 갖는 고유한 특성에 기반하여 이해성(Understandability), 접근성(Accessibility), 적합성(Appropriateness), 객관성(Objectivity), 매력성(Attractiveness), 관련성(Relevancy), 완결성(Completeness), 간결성(Conciseness), 가치성(Valuableness), 오류부재성(Lack of errors)으로 구성된 10가지를 정보디자인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고품질 정보 속성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정보사용자, 정보 결과물, 정보 환경이라는 세가지 틀 안에서 정보디자인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맥락 프레임워크 (Context framework assumption)’를 제안하였다. 맥락 프레임워크는 본 연구의 핵심적인 연구가설을 대변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맥락은 2차원 좌표계에서 ‘층위적 구조 범위(Layered structure range)’와 ‘기능적 깊이(Functional depth)’로 구성되어 있다. 2) ‘층위적 구조 범위’의 폭은 ‘내재 맥락(Internal context)’, ‘외부 맥락(External context)’, ‘최상위 외부 맥락(Extreme external context)’를 포함한다. 3) 기능적 깊이는 ‘점화장치로 작용하는 맥락(Context as ignition)’과 ‘설정된 맥락(Context as setting)’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점화장치로 작용하는 맥락은 ‘기초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IM)’, ‘정보 배치 구조 Structure of Information Sets (SI)’, ‘문화적 기호현상 Cultural Semiosis (CS)’으로 구분된다. 5) 설정된 맥락은 ‘개별 수준의 도식Individual-level Schema(IS)’, ‘분위기 연출 단서Atmospheric Cues(AC)’, ‘사회문화적 기본 도식 Social-default Schemas(SS)’로 구성되어 있다. 요약하면 맥락이란 ‘기초적 동기’, ‘정보의 구조적 배치상태’, ‘문화적 기호현상’, ‘개별 수준의 도식’, ‘분위기 연출 단서’, ‘사회문화적 기초 도식’으로 구분되는 6가지로 속성들의 집합적 구성체이다. 고품질 정보 속성과 맥락 성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쌍으로 구성된30가지의 정보디자인 실험자극물을 디자인하였고, 그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최종적인18개의 정보디자인 실험 자극물을 선정하였다. 각각의 한 쌍의 정보디자인 자극물은 앞서 제시한 6가지 맥락 성분들 중에서 한가지를 충실하게 반영한 결과물이다 (하나의 쌍은 맥락이 강하게 반영된 것과 상대적으로 그렇지 않은 것으로 구성하였고, 전체 18가지 자극물을3개 유형으로 구분하여 배포함으로써 참여자 1인이 한 가지 유형의 6 가지 자극물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어진 각각의 실험 자극물을 통해서 피험자들이 그들의 정보처리 과정에서 어떻게 느끼고 판단하는지를 앞서 거론한 10가지 고품질 정보 속성과 결부시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한국, 중국, 미국, 호주, 독일 5개국에 배포하였으며 최종 204개의 설문결과를 통계적 분석기법(상관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활용하여 해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맥락 프레임워크와 6가지 맥락 성분들은 고품질 정보 속성에 대한 예측력(Predictive power)과 해석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락과 고품질 정보 속성의 관계에서 ‘오류부재성’ 속성을 제외한 나머지 9가지 속성 사이에는 중요하고 뚜렷한 선형적 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오류부재성과 맥락은 부(不, negative)의 관계로 나타났다. 정보디자인에 맥락이 과도하게 적용되거나 제공된 맥락이 사용자의 인지적 상황과 적절하게 부합되지 못할 경우에 사용자 정보 해석과정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기초적 동기 Intrinsic Motivation (IM)’ 맥락이 강조된 정보디자인은 10가지 고품질 정보 속성에 대해 정의(正, positive) 방향으로 뚜렷하게 영향을 미친다. ‘정보배치 구조 Structure of Information Sets(SI)’ 맥락도 대다수의 고품질 정보 속성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정보에 대한 ‘간결성’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 촉진에는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기호현상 Cultural Semiosis(CS)’ 맥락도 모든 고품질 정보 속성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 가장 높은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정보와 해당 정보의 의미 사이에서 발생하는 ‘관련성’ 속성이다.‘개별 수준의 도식 Individual-level Schema(IS)’맥락과 모든 고품질 정보 속성들도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특히 ‘적합성’ 속성이 가장 높은 관계를 갖고 있다. ‘분위기 연출 단서 Atmospheric Cues(AC)’ 맥락도 모든 고품질 정보 속성들과 정의 방향으로 상관관계를 맺고 있을 뿐 아니라 ‘적합성’ 속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소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제시된 정보디자인이 특정 현상을 잘 표현하고 있는지에 대한 ‘적합성’을 판단할 때 사용자는 자신에게 내재하고 있는 개별적 수준의 도식 맥락과 해당 정보의 성격을 간접적으로 연출하는 분위기 연출 단서의 여부에 의존하여 판단을 내린다. 정보의 적합성 여부는 물리적 또는 사회문화적인 외부환경의 작용이 아닌 개인의 내부의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해당 정보 자체에서 보여지는 분위기 연출 단서들의 일치성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기본 도식 Social-default Schemas(SS)’ 맥락의 경우에는 앞의 경우와 양상이 조금 다르게 나타났다. ‘사회문화적 기본 도식’ 맥락은 ‘이해성’, ‘접근성’, ‘적합성’, ‘매력성’, ‘관련성’ 속성과는 정의 방향으로 상관관계를 갖고 있지만 나머지 4가지 속성(객관성, 완결성, 간결성, 가치성)과는 상대적으로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가지 맥락 성분들이 갖고 있는 고품질 정보 속성에 대한 상대적 예측력과 해석력은 ‘개별 수준의 도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분위기 연출 단서’, ‘문화적 기호현상’, ‘기초적 동기’, ‘사회문화적 기본 도식’, ‘정보 배치 구’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설정된 맥락(Context as setting)’이 ‘점화장치로 작용하는 맥락(Context as ignition)’에 비해 고품질 정보 속성에 좀 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보디자이너가 ‘설정된 맥락’ 성분들을 시각적 자원으로 활용할 때 질 좋은 정보디자인의 구현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6가지 맥락 성분들이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고품질 정보 속성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합성’, ‘관련성’, ‘이해성’, ‘객관성’ 속성들이 나머지 속성들에 비해 주로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피험자의 나이, 국적, 인종, 교육 수준, 인지양식, 사고방식 등과 맥락 성분의 상관관계도 규명되었다. 인지양식과 관련하여 ‘장 의존적(Field dependent)’ 경향이 높은 피험자들이 ‘장 독립적(Field in-dependent)’ 성향의 피험자들에 비해 뚜렷하게 구분되는 수준으로 맥락에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이 밝혀졌다. 국적과 관련하여 한국인들이 미국인들에 비해 맥락에 더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도 파악되었다. 독일인, 호주인, 중국인들 사이에서도 차이가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나타내지 않았다. 나이, 성별, 인종, 교육 수준 등과 맥락 영향과의 관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질 좋은 정보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서 정보디자이너가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맥락 성분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맥락들이 구체적으로 정보를 어떻게 질 좋은 정보로 디자인할 수 있게 만드는지, 그것들이 정보사용자의 특성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들을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보디자인의 본질과 정의 그리고 맥락과 고품질 정보속성에 관한 문헌연구, 맥락을 반영한 실험자극물 디자인 개발과정, 고품질 정보 속성과 맥락 성분들 사이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 규명, 맥락 성분들과 인구통계적 특성과의 관련성 파악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주요 발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맥락(Context)은 정보에 내재한 콘텐츠(Information contents)와 정보의 의미(Meaning)와의 상관관계를 구체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보디자인에서 맥락과 콘텐츠는 분리되어 취급될 수 없다. 이것은 기존의 대다수의 정보디자인 연구와 활동이 맥락을 고려하지 못하고 콘텐츠 자체의 시각적 표현에 집중해왔던 접근방식이 한계가 있음을 밝혀주는 대목이다. 둘째, 맥락은 정보디자인 분야에서 정보가 질 좋은 정보로 인식될 수 있도록 만드는 고품질 정보 속성에 뚜렷하게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자원이다. 질 좋은 정보디자인 구현을 위해서 맥락은 시각적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셋째, 맥락은 인위적으로 창출된 모든 정보물에서 해당 정보물 내부의 정보를 구조화시키는 중요한 자원이기도 하다. 정보디자인 분야의 중요한 이슈중의 하나인 정보의 조직화 및 구조화를 위해 맥락이 활용될 가능성이 생겼다. 넷째, 맥락은 정보디자이너가 정보 사용자 개인의 경험과 선호가 어떠한지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출발점을 제공한다. 정보사용자, 정보 결과물, 정보 환경이라는 세가지 틀 안에서 작동하는 맥락들을 파악하면 정보 사용자 개인에게 최적화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정보디자인이 개인화 서비스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다섯째, 맥락은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분석하고 체계화된 커뮤니케이션 연출 방법에 관련된 정보디자인 요소들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맥락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분석할 수 있고 더불어 정보디자인 관련요소들을 체계화시킬 수 있다. 맥락 프레임워크는 그 자체로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원리를 규정하는 준거로서 활용할 수 있다. 성공적인 정보디자인 활동이란 매우 맥락 의존적(Context-dependent)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맥락에 대한 고려 없이 성공적인 정보디자인은 보장받을 수 없으며, 맥락과 그 성분들은 정보디자인 분야가 고려해야 하는 뚜렷하고 분명한 새로운 자원이다. 본 연구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정보디자인 활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던 콘텐츠(Contents)와 더불어서 정보디자이너가 맥락(Context)을 새로운 정보디자인 구현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근간을 제시하였다. 둘째, 그 동안 침묵하는 언어로 인식되어 접근이 어려웠던 맥락이라고 하는 대상을 정보디자이너가 만질 수 있도록 시각적 구현방식 안에서 새롭게 조명하였다. 맥락은 정보디자인에서 의미 창출의 전제이며 동시에 의미 수용의 모태가 되는 대상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D 15006
형태사항 xiv, 241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류시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kyung L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임윤경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ung-suk Kim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명석
Appendix: 1, Construction of survey questions in detail_in English. - 2, Construction of survey questions in detail_in Korean. - 3,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ten high-quality information attributes. - 4, The impact of the stimuli on the high-quality info.attributes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178-18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