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Performance evaluation of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with machine blocking and in-process buffers = 재공품 저장공간의 한계에 따른 공정차단이 허용되는 유연생산체계의 성능 평가
서명 / 저자 Performance evaluation of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with machine blocking and in-process buffers = 재공품 저장공간의 한계에 따른 공정차단이 허용되는 유연생산체계의 성능 평가 / Soo-Tae Kwon.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과학기술원, 1989].
Online Access 제한공개(로그인 후 원문보기 가능)원문

소장정보

등록번호

410590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E 89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thesis considers a queueing network model for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with limited input and output buffers, where machine blocking is allowed and two AGVs are used for input and output material handling, respectively. The queueing network model is analyzed approximately by decomposing the manufacturing system into two subsystems such as the first-level queueing system and the second-level queueing system. The first-level queueing system (representing a subsystem composed of input material handling AGV, and parallel input buffers and workstations) is further decomposed into separate queueing subsystems which can be analyzed in isolation. The second-level queueing system (representing a subsystem composed of output material handling AGV, and parallel output buffers) is treated as a queueing system but under revised queue capacity and arrival and service processes. As the system performance measure, both the system throughput and the queue length distributions are considered. For the marginal queue length distribution of the second-level queueing system, an efficient algorithm is especially exploited by characterizing the reversibility of the system rather than by trying any conventional way of solving balance equations. The algorithm is illustrated with numerical examples.

본 논문은, 제한된 용량의 재공품 입출 저장공간으로 인해 공정 차단이 일어나는 유연생산체계를 대기 네트?으로 모델화하여 평균 대기 행렬의 크기, throughput, 등의 성능평가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정차단은 각 작업장에서 작업이 끝난 제품을 중앙저장소로 운반하는 자재운반 장치의 제한된 용량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출력 저장공간이 필요하다. 대기 네트? 모델은 각각의 작업장으로 분해하여 분석되며, 이때 작업장간의 상호 연관성을 각각의 격리된 작업장에의 실제적인 도착 과정에 반영시킨다. 한편, 각 작업장에서의 출력 저장 공간과 자재운반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분석할 때 정착 방정식을 이용하여 균형 분포를 구하는 대신 역류 가능 대기 행렬을 이용하여 다른 어떤 가능한 방법보다도 더 효율적으로 균형 분포를 얻게 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E 8904
형태사항 ii, 47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권수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ang-Sup Su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성창섭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45-47
주제 Performance.
Queuing theory.
FMS.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성능 분석.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대기 모델.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