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Will robots save us? : Disaster robotics and sociotechnical imaginary in South Korea = 로봇이 우리를 구할 것인가? 한국의 재난로봇과 사회기술적 상상
서명 / 저자 Will robots save us? : Disaster robotics and sociotechnical imaginary in South Korea = 로봇이 우리를 구할 것인가? 한국의 재난로봇과 사회기술적 상상 / Heesun Shi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992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TP 16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thesis examines the recent rise of disaster robotics in South Korea and analyzes the sociotechnical imaginary that accompanies the development of disaster robots. After a series of catastrophic accidents in 2014 such as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roposed robots as one of the technocratic measures to address the problem of disasters. When the Korean robot HUBO won the DARPA Robotics Challenge in 2015, the public expectation towards life-saving robots became even larger. By analyzing the ways in which robots are illustrated in the government’s disaster and safety-related policy documents and popular media materials, this study shows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regarding disasters as a managerial problem and at the same time, as an opportunity for economic growth by developing new technologies. Furthermore, robots are envisioned to use human tools, act like human rescuers, and ultimately replace humans in hazardous environment. What is missing in this sociotechnical imaginary, however, is the existence of humans at disaster sites. This thesis points out the need for reconfig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robots in disaster situations and paying closer attention to treatment towards humans. By displaying how the development of certain technology reveals a nation’s sociotechnical imaginary, this thesis proposes that we attempt to review and question some undisputed assump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nd robot policy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최근 한국에서 재난로봇이 분야가 정부와 언론의 주목을 받으면서 등장한 과정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한국에서 형성되고 있는 사회기술적 상상(sociotechnical imaginary)을 분석한다. 2014년 세월호 참사를 비롯한 국가적 사고 이후 한국 정부는 기술관료적 해결책의 하나로 재난로봇을 제시하였다. 2015년 다르파 로보틱스 챌린지에서 우승한 휴보는 재난로봇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였다. 여러 대중매체와 정부의 재난안전 계획에서 로봇이 그려지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국가가 재난을 관리가능한 문제로 바라보는 동시에, 새로운 기술개발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는 기회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로봇은 인간의 도구를 사용하고 인간처럼 행동하며, 궁극적으로 인간을 대신하여 일할 수 있을 것처럼 그려지고 있다. 반면 재난현장의 인간은 이처럼 로봇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기술적 상상에서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난대응 현장에서 인간과 로봇이 맺게 될 관계와 인간에 대한 처우에 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또한 특정 기술이 제안되고 장려되는 방식이 어떻게 한 국가의 사회기술적 상상을 드러내는지 보이고, 이를 통해 한국 과학기술정책 및 로봇정책 형성에 기여하고 있는 가정들을 재검토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TP 16009
형태사항 iii, 64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신희선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ihyung Jeo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전치형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55-6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