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nergy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seasonal leaf area index variation and different orientations of green wall applied to campus buildings = 잎면적지수(LAI)의 계절적 변화와 향설정에 따른 캠퍼스빌딩 벽면녹화의 에너지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Energy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seasonal leaf area index variation and different orientations of green wall applied to campus buildings = 잎면적지수(LAI)의 계절적 변화와 향설정에 따른 캠퍼스빌딩 벽면녹화의 에너지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 Sinchita Poddar.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992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E 1602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energy consumption behavior in campus buildings are less well understood than other non-domestic buildings. Energy simulation analysis is a beneficial method in measur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s well as investigating different energy management strategies for existing buildings. This research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investigating the heating and cooling reduction potential of green wall as an energy saving measure for three different activity buildings (i.e., research, dormitory and administrative) in KAIST campus, using a simulation tool. Firstly, the research has been facilitated through analyzing different building orientations to find out the most suitable combination of vegetation and orientation for reduced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nsumption. Simulation models have been developed where leaf area index, one of the contributing plant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improving building thermal performance, has been incorporated as per seasonal variations. This allowed observing thermal performance patterns of green wall throughout the year. The North oriented green wall was observe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increasing heating energy efficiency, while East oriented wall to be greatest in cooling energy savings. A higher LAI value proved to be beneficial in improving both heating and cooling energy performance for the studied buildings. Approximately 31% as well as 4% increase in overall energy efficiency were achieved with the studied dormitory and research building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showed extreme weather conditions lead to greater energy savings in winter. To the end, the study focuses on exploring how different functional buildings act in response to vertical vegetation in terms of energy savings, considering operational pattern, occupancy schedul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s the deciding parameters. Night based occupancy in dormitory turned out to be beneficial for reducing heating consumption (60%) compared to the research (7%) and administrative (3%) building. This is because, the largest savings in heating due to vegetation were associated with extreme temperature condition, which is close to zero or sub-zero. Conversely, in cooling season, plant layers were found to be less effective in terms of facade thermal performance especially during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period, with an average of 17% cooling energy savings for the dormitory building. Vegetation led to become ineffective in saving cooling energy, especially for the research and administrative facility where cooling is crucial due to daytime dominated occupancy. Moreover, the cooling energy savings was found to b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rea covered by plants irrespective of opaque wall and fenestrations.

캠퍼스 내 건물의 에너지 소비 행동은 다른 여타 상업용 건물보다 이해도가 낮다. 에너지 시뮬레이션 분석은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 할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에 대한 다른 에너지 관리 전략을 조사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KAIST 캠퍼스의 세 가지 다른 활동의 건물들 (연구동, 기숙사 및 본관)에 벽면녹화가 설치된다면 냉/난방 감소에 얼마나 잠재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해주는지 시뮬레이션 도구를 사용하여 조사를 하였다. 먼저, 이 연구는 냉/난방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향과 식물들의 조화가 가장 적절한 조합을 찾기 위해 여러 건물의 향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들은 건물의 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생리학적 파라미터 중 하나인 잎 면적 지수를 이용하고, 이는 계절 변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한 시뮬레이션 모델들을 개발하였다. 이것을 통하여 일년 동안의 벽면녹화 열 성능 패턴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북향의 벽면녹화는 열 에너지 효율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 되었지만, 동향의 벽면녹화는 냉방 에너지 절약에 가장 효과적인것으로 관찰 되었다. 높은 LAI 값은 본 연구에 적용된 건물들을 위한 냉/난방 에너지 성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연구에 적용된 건물들의 전체 에너지 효율에서 기숙사는 31%, 연구동에서는 4% 증가함을 보였는데, 그 결과는 극심한 기상 조건인 겨울에 더 큰 에너지를 절약 할 수 있다고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동작패턴을 고려한 에너지 절약, 건물 이용 일정 (occupancy schedule), 그리고 물리적 특성들을 결정 요소들로 정해 놓은 수직 식물에 각기 다른 기능의 건물들이 어떻게 반응을 하는지를 관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밤 중 사람들이 모두 이용하고 있는 기숙사의 경우 60%의 난방이용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동 7%, 본관 3% 감소.) 이는 식물로 인하여 난방에 가장 큰 절약을 하는 것이 극한 온도 조건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반대로 여름에는 식물 레이어들이 건물 외관의 열 성능 면에서 별로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비교적 고온인 기간 동안에는 기숙사 건물에서 평균 17%의 냉방 에너지 절감을 가져왔다. 식물은 냉방 에너지 절감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낮 시간 동안 주로 이용이 되어 냉방이 중요한 연구동과 본관은 더욱 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또한 냉방 에너지 절약은 채광용창 (fenestrations)과 불투명 벽에 상관없이 식물들로 덮인 면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E 16027
형태사항 viii, 68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신치타 포다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eongju Ch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장성주
수록잡지명 : "[Accepted] Simulation Based Analysis on the Energy Conservation Effect of Green Wall Installation for Different Building Types in a Campus".
수록잡지명 : "Sensitivity Analysis of Building Energy for Energy-Efficient Building Design in a Smart Grid Enabled Campus". (2015)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건설및환경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63-6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