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Isolation of chemotactic signalling mutants in escherichia coli = Escherichia coli에서 주화성과 관련된 신호발생 돌연변이체의 분리
서명 / 저자 Isolation of chemotactic signalling mutants in escherichia coli = Escherichia coli에서 주화성과 관련된 신호발생 돌연변이체의 분리 / Jae-Kyung Yoo.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과학기술원, 1988].
Online Access 제한공개(로그인 후 원문보기 가능)원문

소장정보

등록번호

410497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BE 881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Bacterial chemotaxis is the response of an organism to a chemical gradient. Chemotactic sensory transducers located in the cytoplasmic membrane sense the stimulus and change the flagellar rotation frequency through the cytoplasmic sensory transduction pathway. Trg is the transducer for ribose and galactose.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signalling domain of Trg, the trg gene on a multicopy plasmid was mutagenized by hydroxylamine in vitro. After screening on chemotactic swarm plate, three mutant plasmids which show generally nonchemotactic phenotypes were isolated. They did'nt show any chemotactic activity on multicopy plasmid but gave slight response to ribose and galactose in a single chromosomal copy like previously characterized signalling mutation $\underline{trg-21}$. The proteins from the mutations, named $\underline{trg-202}$ and $\underline{trg-203}$, show abnormal mobility on SDS-PAGE resulting from the defect in the deamidation like $\underline{trg-21}$ In contrast, another mutation $\underline{trg-201}$ is able to undergo deamidation in the same manner as wild type Trg protein. The mutations, $\underline{trg-202}$ and $\underline{trg-203}$, exhibit a pronounced counterclockwise bias in flagellar rotation while $\underline{trg-201}$ shows exclusively clockwise rotation.

화학 주성은 생명체가 체외의 농도 경사에 반응 하는 것을 말한다. 화학 주성에 관계하는 감각 수용체는 세포질막에 존재하며, 자극을 인지한 후 세포질 내의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하여 편모의 회전 빈도를 바꾼다. Trg는 ribose와 galactose에 대한 감각수용체이다. 이 Trg의 신호 발생 부위를 알기위하여 plasmid 위의 trg유전자를 시험관 상에서 hydroxylamine으로 돌연변이를 유발 시켰다. 이들을 주화성을 검사 할 수 있는 배지 위에서 관찰하여 주화성과 관련된 신호발생에 이상이 있는 표현형을 보이게 하는 plasmid를 모두 세게 찾아 내었다. 이들은 plasmid 상에서는 어떤 주화성도 보이지 않지만 염색체에 하나의 유전자 만 존재할 때는 ribose와 galactose에 대해서는 약간의 반응을 보이는 것과, 이들과는 약간 다른 표현형을 보이는 것으로 구성된다. 앞의 돌연변이를 trg-202와 trg-203이라 하며 이들은 SDS-PAGE상에서 trg-21처럼 deamidation 이상에 의한 비정상 적인 이동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trg-201 이라하는 뒤의 돌연변이는 SDS-PAGE 상에서 야생종 Trg 단백질과 같은 이동속도를 보여 정상적인 deamidation을 함을 보여주었다. 더욱이 trg202와 trg-203은 편모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반해 trg-201은 시계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BE 8816
형태사항 iii, 37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유재경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an-Kyu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찬규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32-35
주제 Cellular signal transduction.
Chemotaxis.
Mutation (Biology)
주화성.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돌연변이.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