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Visual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product images in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for design projects = 디자인 프로젝트의 다분야 협업을 위한 제품 이미지의 시각적 인식 및 해석
서명 / 저자 Visual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product images in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for design projects = 디자인 프로젝트의 다분야 협업을 위한 제품 이미지의 시각적 인식 및 해석 / Minsun Park.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945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D 1301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communication in design teams, the words used for expressing feelings or thoughts differed among designers and experts of other disciplines (Baker at el., 2010). The main difference derives from experiences and thinking processes (Dorta at el., 2010). In a collaborative context, designers tend to think and communicate in a cyclical way, designing in a process that moves through disparate stages (Baker at el., 2010; Dorta, at el., 2010), whereas other disciplinary experts tend to think and communicate in a systematic way, designing in a process that moves through step-by-step stages (Holvikivi, 2007).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issues of design communication including the process, team works, the design settings, groupware, communication patterns, and pedagogy. (Simoff, 2000; Kvan, 2001) However, these studies rarely focus onto the importance on the differences of semantic terms regarding multi-disciplines.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of semantic terms used to express a design image from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general miscommunication of product development teams, understand the semantic differences among multi-discipline communication, and understand the semantic terms of engineers’ and marketers’ perspectives. This work presents the explorative investigation of the possible influence of design communication. The focus was addressed to the communication of product development teams, semantic difference among multi-disciplines, and semantic terms used to understand design images. Four sessions involving open-ended survey, affinity diagram and literature search, multiple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omponents and influential factors of design communication in product development teams. Another four sessions including literature search, expert interviews, surveys, and post-survey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semantic terms among designers, engineers and marketers. Finally, expert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products regarding two disciplines which varied the most, designer-group and engineer-group. The study reveals the fifteen prior components as ‘gestures’, ‘tone of voice’, ‘choice of words’ of design communication, the categorization of the prior components into ‘verbal’, ‘vocal’ and ‘visual’, findings of ‘position of participant’, ‘ terms of work experienced’, ‘areas of discipline’, and ‘phase in design process’ as the prior influential factors of design communication, the representative fifty-five semantic terms such as ‘futuristic’, ‘active’, ‘modern’, ‘fresh’ in describing product design images, the match of semantic terms and design images of designers, marketers, and engineers, and finally the explanation of the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products of different disciplines, constructed into a tool for practical form of application. The work ends with a reflection of the benefits of the findings on a broader view,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 of further researches.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에서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단어의 사용에 있어서, 디자이너와 다른 분야의 전문가 사이에 차이가 존재한다. (Baker & van der Hoek, 2010). 이는 그들의 경험과 사고 과정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디자이너들은 순환하는 방식으로 의사소통하고 상이한 단계들로 이루어진 과정을 거쳐 디자인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디자인과 관련된 다른 분야에서는 체계적인 방식으로 의사소통하고 점진적인 단계들을 순서대로 거쳐 디자인하는 경향을 보인다 (Holvikivi, 2007).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에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디자인 프로세스, 팀워크, 디자인 환경, 그룹웨어,커뮤니케이션의 패턴, 교육학 등에 초점을 맞추어왔다(2000 Simoff, 1999 Morozumi, 2001 Kvan). 하지만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의미적 용어들의 차이의 중요성을 조명하고 있는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디자인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미적 용어의 여러 분야 간 차이점에 대해 다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품 개발팀 내에서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잘못된 의사소통 대한 이해, 여러 분야 간 커뮤니케이션에서 용어 차이에 대한 이해, 엔지니어와 마케터들의 관점에서 의미론적 용어들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가능한 영향력에 대한 탐구 관찰이 진행되었다. 디자인 개발팀의 의사소통, 분야 간 용어의 차이, 디자인 이미지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미론적 용어에 초점을 두고, 총 8번의 세션을 통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4번의 세션은 제품 개발 팀에서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요소와 중요한 요소들을 이해하기 위해, 개방형 설문조사, 친화도법, 문헌 연구, 전문가 인터뷰가 진행되었고, 나머지 4번의 세션은 디자이너, 엔지니어, 마케터가 사용하는 용어의 차이점을 알기 위해 문헌 연구, 전문가 인터뷰, 설문조사, 설문 후 인터뷰가 행해졌다. 본 연구의 결과 부분에서는 15개의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 요소, 중요 요소의 분류,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 요인, 디자인 이미지를 묘사하는 대표적인 55개의 의미적 용어, 디자이너, 마케터, 엔지니어 간의 디자인 이미지와 의미적 용어의 매치, 그리고 디자인 이미지를 이해하는 용어적 차이를 토대로 설계한 실제 사용 가능한 툴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이 연구 결과의 유용성에 대한 숙고가 이루어지며, 연구의 한계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이 제시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D 13015
형태사항 v, 71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박민선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i-Young Na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남기영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57-6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