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organotin(Ⅳ)-phenylenebisdithiocarbamate complexes = 유기주석 (Ⅳ)-페닐렌비스디티오 카바메이트 착물의 합성과 규명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organotin(Ⅳ)-phenylenebisdithiocarbamate complexes = 유기주석 (Ⅳ)-페닐렌비스디티오 카바메이트 착물의 합성과 규명에 관한 연구 / Won-Ho Lee.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과학기술원, 198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410357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AC 861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Para- and meta-phenylenbisdithiocarbamate(p- and m-pbdtc) ligands have been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the corresponding phenylenediamines and carbon disulfide in alkaline aqueous solutions. The pbdtc ligands thus obtained were reacted with various di- and triorganotin(IV) compounds to obtain several new organotin-pbdtc complexes. These resultant organotin-pbdtc complexes were isolated and chracterized by means of chemical analysis, IR, MNR and DTA.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it is proposed that the product from the reaction of the p-pbdtc ligand with dimethyltin dichloride is a polymeric complex in which the coordination number around the tin atom is six, since the dithiocarbamate moiety acts as bidentate. On the other hand, when m-pbdtc is reacted with diorganotin compounds, monomeric or dimeric complexes are obtained with the coordination number of six and four in dimethyltin-pbdtc and dicyclohexyltin-m-pbdtc complexes, respectively, since the dithiocarbamate moiety acts as bidentate in the former whereas it acts as monodentate in the latter. Unlike the diorganotin-pbdtc complexes, only monomeric form is obtained when triorganotin was reacted with the pbdtc ligands.

P-및 m-phenylenediamine 을 알카리 수용액에서 이황화탄소와 각각 반응시켜, p-및 m-phenylenebisdithiocarbamate(pbdtc) 를 합성하였다. 이 ligands 를 여러가지 유기주석 (IV)화합물과 반응시켜 몇가지 새로운 유기주석-pbdtc 착물을 합성하여, 원소분석, IR, NMR및 DTA를 이용하여 규명 하였다. 이때 합성된 착물을 IR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주석의 결합 자리수를 살펴본 결과 p-pbdtc ligand에 $(CH_3)_2SnCl_2$ 을 반응시켰을때는, dithiocarbamate ligand 가 bidentate 로 작용하여 결합자리수가 6인 polymer 형태의 착물이 얻어진 반면에, m-pbdtc ligand에 $(CH_3)_2SnCl_2$ 와 $Cy_2SnBr_2(Cy:C_6H_{11}-)$을 각기 반응시킨 결과 dithiocarbamate ligand 가 전자의 경우는 bidentate 로 작용하였으며, 후자의 경우는 monodentate 로 작용하여 결합 자리수가 각각 6과 4인 monomeric 혹은 dimeric 형태의 구조를 가질 것으로 판단되는 착물이 얻어졌다. 그러나 상기 ligand에 triorganotin을 반응시켰을때는 dithiocarbamate가 모두 bidentate로 작용하여 주석의 결합자리수가 5인 monomeric 형태의 착물이 얻어졌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AC 8617
형태사항 iv, 54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Includes appendix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원호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Soo Soh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손연수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34-36
주제 Complex compounds --Spectra.
Organotin compounds.
화학 합성.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유기 주석 화합물.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Complex compounds --Synthesis.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