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지자체의 디자인보호제도에 관한 연구 : 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design protection system in local government : focusing on a case in Jeonju city
서명 / 저자 지자체의 디자인보호제도에 관한 연구 : 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design protection system in local government : focusing on a case in Jeonju city / 조경숙.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927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P 1600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We are currently in the design management era in administratio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gard design as a major political strategy and have expanded design into a means of welfare to improve quality of life. Realizing the importance of city brand, government firm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ublic design. It is difficult for local government to develop and manage public design that provides a specific and differentiated identity of the city when compared to the design of other local governments. Because no specific public design standards exist, many people imitate the design and copy from public designs in foreign countries resulting in legal disputes. Because these design standards are unclear, deciding the right to ownership is difficult. Because others may freely imitate public design, this causes disputes between individuals, companies and other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will determine a suitable design protection system in local government by making the right of design that focuses on how public design affects the identity of Jeonju city. Through intensifying the right of public design, citizens and local government can make use of the design regarding the unified criteria and the right of public design can be a means of preventing confusion in using and transforming public design. This study analyzes advanced research and publications related to the public design and the design protection system in Korea. We will analyze expert interviews about selecting the public design that affects the identity of Jeonju city as well as telephone interviews with the officials in charge of the public design in order to determine the reason why creating the right design is difficult in local government. The study also analyzes opinions about the identity of Jeonju city, specifically, the opinions of the officials in charge of making policy and the consumer’s opinions about the identity of Jeonju city and cityscape. Using this research, several design protection systems are suggested. First, a system to prevent imitation and the grounds for such a system should be built in order to intensify institutional bases and design deposit system should be built for registration of public design. Second, the Industrial Design Promotion Act and Engineering Technology Protection Act should be revised and when the public facility is built, the cost to build the public facility and to manage product quality in design industry should be determined in order for extended application of design and to make the grounds for recognizing the designer’s qualifications and career. Third, financial support for design protection should be provided. The aim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is the first attempt to examine situational, problems and court disputes relating to design protection in local government. Second, through specific examples the research analyzes the subject in need of protection and the method for protecting the public design. Third, specific institutional grounds for preventing design imitation have become increasingly strict, the rules for design trade are reinforced, people have become informed of the features of the public design and the local governments were asked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the public design.

현재는 행정의 디자인 경영시대로 표현될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디자인을 주요한 정책 수단으로 인식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수단으로 활용범위를 확대해가고 있으며, 도시브랜드의 중요성을 파악하게 되면서 공적인 방향으로의 디자인 영역인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각 지자체가 추진하는 공공디자인의 개발범주가 유사하고 제한적이며, 타지자체 및 외국사례를 벤치마킹하여 활용하는 경우도 많아 다른 지자체와 차별화된 도시정체성을 표현하는 공공디자인의 개발과 유지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공공디자인에 대한 디자인 권리화의 특성상 보호대상이 관념적·추상적이며, 소유권과는 다르게 권리범위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워 타인의 경쟁적 모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개인이나 업체 또는 타지자체와의 마찰이 빈번해져 법적분쟁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 정체성에 영향력 있는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권리화 방법을 통해 지자체의 디자인보호 방안을 모색하고, 공공디자인 권리확보의 강화를 통해 시민과 지자체가 통일된 기준마련으로 이용을 편리하게 하며, 디자인을 변형하여 사용하고 혼동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발생에 대해 강력한 제재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에 우리나라 디자인보호제도와 공공디자인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문헌 분석, 전주시 정체성에 영향력 있는 공공디자인 대상 선정을 위해 전문가 심층인터뷰 조사 분석, 지자체 디자인권 확보가 저조한 원인에 대한 각 지자체 공공디자인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전화인터뷰 조사 분석 및 전주시 도시정체성과 도시경관에 대한 수요자 입장의 시민과 정책 수행을 담당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전주시 정체성에 관한 의식조사 비교분석 방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지자체 디자인의 보호 방안으로, 첫째, 디자인 모방방지를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로 모방방지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근거 개정과 공지디자인 등록을 위한 디자인 기탁제도 신설을 제안한다. 둘째, 디자인분야의 확대적용 및 디자이너 자격·경력 인정기준 마련을 위한 산업디자인진흥법·엔지니어링기술진흥법 개정 제안과 공공부문 디자인산업의 품질유지 및 공공시설물 제작·설치시 비용 계상 근거 신설을 제안한다. 셋째, 디자인 권리보호를 위한 디자인 재원지원 신설을 제안한다.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로 지자체의 디자인 보호에 관한 현황 및 문제점과 법적분쟁 사례 등에 대한 첫 연구인 점, 둘째로 전주시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지자체가 보호해야할 대상 선정 및 선정된 공공디자인 대상에 대한 보호방법을 상세히 분석한 점, 셋째로 지자체 디자인의 보호 방안으로 구체적인 디자인모방방지를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와 디자인 거래질서 확립 및 공공부문의 확산 그리고 디자인 재원 지원근거 마련을 위해 제안한 점은 본 연구가 갖는 특징이라 판단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P 16007
형태사항 v, 70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Kyong Sook Ch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성정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ung Hyun Sung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정경원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yung Won Chung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지식재산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6-5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