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그래핀의 표면상 젤화 기법을 통한 다공성 그래핀/탄소나노튜브 선형 슈퍼캐패시터에 관한 연구 = Highly porous reduced graphene oxide/carbon nanotube fiber supercapacitor via interfacial gelation
서명 / 저자 그래핀의 표면상 젤화 기법을 통한 다공성 그래핀/탄소나노튜브 선형 슈퍼캐패시터에 관한 연구 = Highly porous reduced graphene oxide/carbon nanotube fiber supercapacitor via interfacial gelation / 오정재.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906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S 16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Nowadays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is sharply increased due to the market demands. For all wearable devices, energy supply device also should be flexible and wearable. Various type of energy storage materials compete for wearable energy supplier, fiber type energy storage materials are powerful candidate for the system because it is highly flexible(almost bendable), easy to inte-grate into the system, stretchable when the fibers are woven. Supercapacitor is a kind of energy storage system which has high power density with excellent cyclability and short charging times.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EDLC), a kind of supercapacitor saves energy by adsorbing electrolyte on the surface, so large surface area is key factor for capacitance of EDLC. Carbon materials, especially graphene oxide is suitable for EDLC because of good processability with large specific surface area. Until now, many researches are dedicated to producing graphene oxide based fiber by spinning method, however usually the fibers are suffer from reducing surface area due to restacking of graphene oxide during spinning fibers. This work introduces a graphene oxide fiber with high surface area produced by interfacial gelation of graphene oxide on zinc surface. In previous work, it is known that graphene oxide flakes are self-assembled onto surface of zinc plate with highly porous hydrogel structure by redox reaction. Intrinsic graphene oxide flakes have insulating behavior, however conductivity of self-assembled graphene oxide flakes is recovered because the graphene oxide is reduced during redox reaction. Another advantage of the interfacial gelation method is easy to producing composite structure by adding hetero species into graphene oxide solution. Capacitance and rate capability can be improved by adding carbon nanotubes because carbon nanotubes improve conductivity of the fiber. The composite fiber has high conductivity($38.68 \Omega/cm$) with high specific surface area($431m^{2}/g$). The fiber also shows good rate capability at high scan rate(until 1V/s) which is comparable with poor rate capability of pure graphene oxide fiber. Woven fibers also shows good capacitive behavior with good stretchability.

최근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대한 개발이 가파르게 증가하고있다.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 장치 역시 유연해야하고 웨어러블해야한다.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 저장 장치가 이를 위해 개발되었는데, 그 중 선형의 에너지 공급 장치는 매우 유연하고 집적이 쉬우며 직물형태로 짰을 때 유연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져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슈퍼캐패시터는 에너지 저장 장치 중 하나로써 높은 전력 밀도와 좋은 수명, 짧은 충방전 시간 등의 이점이 있다.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슈퍼캐패시터 중 하나로써 표면에서 전해질의 흡탈착으로 에너지를 저장하기 때문에 넓은 비표면적을 가지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그래핀 산화물 등의 탄소물질은 좋은 가공성과 높은 비표면적으로 인해 슈퍼캐패시터에 적합한 물질로써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지금까지 그래핀 산화물을 이용한 선형의 슈퍼캐패시터를 만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주로 방사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표면적이 그래핀의 재적층으로 인해 크게 감소할 수 밖에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아연상의 그래핀 산화물 젤화 기법을 통해 다공성의 선형 그래핀 산화물을 제작하는 일을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로서 그래핀 산화물 용액과 아연 표면에서의 산화환원반응으로 인해 아연 표면상에 다공성의 그래핀 하이드로젤이 자가조립된다. 이 때 그래핀 산화물은 환원되어 전기전도도가 회복된다. 이 기법은 그래핀과 다른 나노물질을 복합화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형의 그래핀 산화물에 탄소나노튜브를 복합화하여 슈퍼캐패시터의 축전용량과 율속특성을 개선하였다. 이 선형의 그래핀/탄소나노튜브 복합체는 좋은 전기전도도($38.68 \Omega/cm$)와 넓은 비표면적($431m^{2}/g$)을 가지며 높은 충전 속도(1V/s)에서도 좋은 특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직물 형태로 제작하였을 때 좋은 슈퍼캐패시터 특성과 함께 신축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S 16001
형태사항 v, 54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ung Jae Oh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상욱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ang Ouk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신소재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9-5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